터미널 작업을 자주 하는 편은 아닌데 요새 WSL2 와 Git 을 이용한 작업 때문에 간간히 윈도 터미널을 쓰고 있다. 뭐 이것저것 좋다는데 내 경우엔 그냥 탭 기능 있고, 글꼴가 예뻐서 쓴다. Microsoft Store 에서 설치할 수 있다.
그동안 매번 '터미널 실행 - wsl 실행 - cd 명령어로 작업 경로 이동' 식으로 써왔는데, 터미널에서 wsl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경로'를 기준으로 wsl이 실행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윈도 시작 버튼에서 wsl을 실행시키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계정이 기본 경로다. 즉 'Users/사용자명' 의 그 경로.
예를 들어, C:/Users/mycom 경로에서 wsl을 실행시키면 기본적으로 username@mycom:/mnt/c/Users/mycom$ 경로로 시작하게 된다. 사실 탐색기에서 원하는 폴더로 이동한 뒤 우클릭 메뉴에서 'Open in Windows Terminal' 를 선택한 뒤 wsl을 입력해도 된다.
아무튼 매번 cd .. 명령어 쓰기도 귀찮고, 탐색기 열기도 귀찮아서 좋은 수가 없을까 알아보다 터미널 설정에서 시작 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터미널에서 'Ctrl + , ' 또는 메뉴를 눌러 설정 json 파일을 연다. 사용하는 에디터나 메모장을 선택해주자.
위 스크린샷에 보이는 'Windows PowerShell', '명령 프롬프트', 'Azure Cloud Shell', 'Ubuntu' 등의 이름이 보이는 곳까지 스크롤한다. 우리는 WSL2에서 돌아가는 우분투의 시작 경로를 바꿀거니까 'Ubuntu'를 찾으면 된다.
"startingDirectory": "//wsl$/Ubuntu/home/사용자명" 식으로 윈도 내에서의 시작 경로를 지정해준다. 이 경로는 탐색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슬래시로 입력된 부분을 역슬래시로 바꿔 탐색기 주소입력창에 넣으면 된다. (WSL2 업데이트 등으로 인해 동작하지 않을 경우, /를 \로 바꾸어 넣어본다)
만약 컴퓨터에 설치된 WSL2의 홈 디렉토리 경로를 윈도에서 찾기 어려울 경우, 'cd ~ ' 를 입력해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 뒤 'explorer.exe . ' 를 입력하면 된다.
터미널 단축키를 눌러 Ubuntu 를 실행시키면, 바로 지정한 경로에서 시작하게 된다.
요약
- 'Ctrl + , ' 눌러 터미널 설정 json 열기
- 시작 경로를 지정할 프로필 확인 (파워셀, 명령 프롬프트, Ubuntu 등)
- "startingDirectory": "//wsl$/Ubuntu/home/username" 식으로 경로 지정(이 경로는 Windows 내에서의 경로임. 경로찾기 어려울 땐 우분투에서 해당 경로로 이동한 뒤 ' explorer.exe . ' 를 입력해 탐색기에서 경로 확인 가능) - 업데이트 이후 \를 써야 될 수도 있음
- 터미널에서 단축키 이용해 해당 프로필 실행
댓글 없음:
댓글 쓰기
- 스팸 방지를 위해 보안문자(캡차) 확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스팸댓글이 너무 많이 달려 댓글 검토 기능을 쓰고 있습니다. 입력하신 댓글이 당장 화면에 나타나지 않아도, 블로그 주인장은 댓글을 보고 있으니 안심하세요. 1~3일 내에 검토가 완료되면 댓글이 게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