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딱이카메라 CCD에도 먼지가?!

by hfkais | 2009. 2. 24. | 3 comments

렌즈를 교환할 수 있는 DSLR 카메라는 구조상 먼지가 들어가기 쉽습니다. 렌즈교체 과정에서 마운트 구멍을 통해 먼지가 들어가기 때문이죠. 이렇게 들어간 먼지는 카메라의 이미지센서에 묻어, 사진에 검은 얼룩을 만들어버립니다. 때문에 DSLR 제조사들은 오래 전부터 이미지센서의 먼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왔고, 그 결과 최신 DSLR 카메라들은 각각 독자적인 기술의 먼지 제거 시스템을 장착하게 되었습니다.


△ 캐논의 최신형 DSLR에는 Integrated Cleaning System이란 이름의 먼지제거 기술이 들어갑니다. 이미지센서 앞에 위치한 Low-pass 필터를 진동시켜 먼지를 떨어뜨리는 기술이죠.


△ 올림푸스 DSLR의 먼지제거 기술에는 Dust Reduction이란 이름이 붙어있습니다. 이 기술은 초음파를 이용해 먼지를 제거합니다. 새하얗게 붙어있던 먼지가 한번에 날아가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이처럼 DSLR 카메라들은 이미지센서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적극적입니다. 그럼, 일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들은 어떨까요? 흔히 '똑딱이' 라고도 불리는 컴팩트 카메라들은 렌즈를 교환할 일이 없기 때문에, 카메라 내부로 먼지가 들어갈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굳이 방수카메라가 아니더라도, 몇 년씩 막 굴려도 센서에 먼지가 묻는 경우는 흔치 않죠. 때문에 이미지센서의 먼지제거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은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그런데 이 '흔치 않은' 일이 저에게 일어났습니다. 사용중인 후지필름 F40fd에 먼지가 붙어버린 겁니다. 어느 날 사진을 찍으려고 카메라를 꺼냈는데...

DSC01215
△ LCD 화면을 통해 시커먼 얼룩이 보이는 겁니다...!

갑자기 이런 상황을 맞게 된다면, 생각해 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크게 3가지 정도입니다.

  1. 렌즈에 먼지가 붙었나?
  2. LCD창에 먼지가 붙었나?
  3. 이미지센서에 먼지가 붙었나?

그럼 하나씩 살펴볼까요?

 

렌즈에 먼지가 붙었을 경우 - 카메라에는 여러 장의 렌즈가 들어있는데, 바깥쪽에 있는 렌즈에는 먼지가 붙어도 웬만해선 사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안쪽에 있는 렌즈에 먼지가 붙으면 좀 신경 쓰이긴 하지만, 이것도 심각한 영향을 끼칠 정도는 아니죠. 만약 LCD화면을 통해 먼지가 보일 경우, 카메라의 줌 버튼을 눌러 화각을 이리저리 조정해보면, 이게 렌즈에 붙은 먼지인지 아닌지 알 수 있습니다. 화각에 따라 먼지가 보였다 안보였다 하기도 하고, 화면에 보이는 먼지의 위치가 이동되기도 하죠.

LCD창에 먼지가 붙었을 경우 - 사진 결과물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크게 불편하지 않다면 그냥 신경 꺼도 됩니다. 민감한 분이라면 좀 신경 쓰일지도 모르겠지만... 이런 건 그냥 무시가 상책입니다. 나중엔 별로 신경도 안 쓰게 됩니다.

이미지센서에 먼지가 붙었을 경우 - 사진 결과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아주 난감한 상황입니다. 만약 DSLR이라면 렌즈를 제거하고 센서에 바람을 불어주거나, 자체 먼지제거 기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렌즈 제거도 안되고 먼지제거 기능도 없는 컴팩트 카메라에겐 그저 난감할 따름입니다. 줌 버튼을 눌러 화각을 바꿔봤을 때, 먼지가 계속 같은 자리에 있다면 이미지센서에 붙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사진 결과물에 검은 얼룩이 보인다면 100%죠. 조리개를 열고 사진을 찍었을 때 얼룩이 희미하게 나오긴 하지만, 조리개를 조이고 찍으면 얼룩이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중요한 사진이라면 아주 짜증나겠죠.

 

매우 안타깝게도, 저는 세 번째 경우에 당첨되었습니다. 이미지 센서에 먼지가 붙은 것이죠. 대체 왜 똑딱이의 깊숙한 안쪽에 먼지가 들어갔는지, 또 하필이면 그게 왜 CCD인지 의아했지만 어쩔 수 없었습니다. 카메라를 탁탁 때려도 봤지만(!) 그런다고 떨어질 먼지가 아니죠. 게다가 먼지도 무려 두 개씩이나 있었으니 말입니다.

결국 후지필름 용산AS센터로 카메라를 보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카메라를 보내기 전 미리 연락을 드렸더니 그쪽 기사분도 황당해 하시더군요. 대체 똑딱이 CCD에 어떻게 먼지가 붙었느냐고…. 다행히 제 F40fd는 국내정품인데다 구입한지 1년이 안되어서 무상으로 청소해 주셨습니다(국내정품이 아닌 경우, 월드워런티 적용-수리비 발생할 수 있음). 간단히 먼지만 제거하면 되었기에, 며칠 후 깨끗해진 F40fd를 다시 만날 수 있었습니다. DSLR만큼이나 똑딱이도 항상 먼지를 조심해야겠어요.


후지필름 용산 A/S 센터


크게 보기

전체 내용 보기

로지텍 S-150 USB 스피커 사용기

by hfkais | 2009. 2. 23. | 2 comments

평소 컴퓨터를 쓸 때 클립폰이나 이어폰만 써온 터라, 데스크톱에서 쓸 일반 스피커가 필요했습니다. 그리 큰 출력이나 2.1채널은 필요 없었고  비싼 가격도 원치 않았기에 그럭저럭 싸고 적당한 녀석을 고르려 애썼지요. 그러던 어느 날, 마침 원어데이에서 괜찮아 보이는 스피커를 발견했습니다. 바로 로지텍 S-150 USB 스피커입니다.

logitech_s150

 

보시다시피 작은 크기에,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합니다. 복잡한 설치 과정도 필요 없고, 그냥 USB 커넥터를 냅다 컴퓨터에 꽂기면 하면 됩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겉모습

까만 색 좌우 스피커가 각각 있고, 스피커끼리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오른쪽 스피커에는 USB 케이블과 함께 볼륨조절 버튼, 음소거 버튼이 달려있습니다. 세 개의 버튼 중 왼쪽 버튼이 마이너스, 오른쪽이 플러스입니다. 가운데 버튼이 음소거이고요. 일반 아날로그 스피커들은 운영체제와는 별도로 스피커 내에서 자체적으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데, 로지텍 S-150은 버튼을 누르면 윈도 볼륨 창에서 볼륨이 조절됩니다.

 

설치

이 스피커의 케이블은 좌우 스피커끼리 연결된 케이블 하나, 그리고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해 오른쪽 스피커에 달린 USB 케이블 하나가 전부입니다. USB 스피커이기 때문에 별도 전원이나 스테레오 커넥터 등은 전혀 필요 없습니다. USB 커넥터 하나가 전력과 사운드 신호를 모두 담당하는 방식입니다.

스피커의 USB 커넥터를 컴퓨터에 꽂으면 Windows에 새로운 장치가 추가됩니다. 바로 'USB Audio'가 그것인데요, 이것 자체만으로 사운드카드의 역할까지 수행합니다. 즉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사운드카드(혹은 내장사운드)와는 별개로 동작합니다. 때문에 Windows 제어판의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등록정보를 열어보면, 두 개의 사운드장치가 보이게 됩니다. 하나는 기존에 있던 사운드카드이고, 또 하나는 S-150의 USB Audio 입니다.

 

사운드 출력장치 바꾸기

snap_2456 USB 스피커를 컴퓨터에 처음 꽂을 경우, 운영체제는 새로운 사운드 장치를 추가한 뒤 기본 장치로 설정하게 됩니다. 이때부터는 컴퓨터에서 나는 소리가 모두 USB 스피커를 통해 들리게 됩니다. 물론 이전 사운드장치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만 선택을 안 했을 뿐이죠. 소리가 나는 장치를 바꾸려면, Windows 제어판에서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를 더블 클릭해 열고 '오디오' 탭에서 '소리 재생'의 기본 장치 부분을 변경해주면 됩니다. 굳이 USB 커넥터를 뺐다 꼈다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 설정을 바꿔도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엔 바로 적용되지 않으므로, 이럴 땐 프로그램을 끄고 다시 실행시켜주면 변경된 내용이 적용됩니다. 어떤 프로그램들은 제어판 설정과는 달리 프로그램 자체 옵션에서 출력할 사운드 장치를 고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악 재생 프로그램인 Foobar 2000의 경우, 옵션에서 출력 장치를 고른 후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File – Preferences – Playback – Output - Output Device).

 

음질

사실 이 글의 다른 내용들은 다 필요 없을지도 모릅니다. 스피커라면 모름지기 음질로 이야기해야겠죠.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딱 가격 만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약 10,000원이 안 되는 가격, 딱 그 수준입니다.

일반적인 스테레오 스피커에 비해, 전체적으로 약간 불투명한 소리가 납니다. 또렷하지 않고 약간 뭉개지는 느낌이랄까요? 어쩌면 USB 특유의 현상일지도 모르겠네요. 함께 쓰고 있는 Microsoft 헤드셋도 USB방식인데, 비슷한 느낌의 음질을 들려주거든요.

별도 전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피커 음량은 꽤 큰 편인데,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음량은 약 80% 이하입니다. 음량을 100%로 올리면 음악을 들을 때 부분부분 찢어지는(?) 소리가 납니다. 좀 참고 그냥 들어볼까 싶기도 했지만 스피커가 고장 날 것 같아서 음량을 낮출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물론 약 80% 이하의 음량에서는 찢어지는 소리가 안 나고요. 기본으로 설정된 음량이 다소 높은 느낌이었습니다. 어차피 큰 볼륨에서 제대로 들을 수 없다면, 기본 설정을 약간 낮춰서 작은 볼륨으로라도 제대로 들을 수 있었음 좋았을 텐데요. 이 부분이 살짝 아쉬웠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대로 전면의 볼륨조절 버튼은 윈도 볼륨창의 볼륨조절 슬라이더와 연동됩니다. 버튼을 누를 때마다 '마스터 볼륨' 항목의 슬라이더가 오르락내리락 합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마다 호불호가 갈리는데, 저의 경우 매우 편리한 기능이었습니다. 저는 평소에 볼륨조절을 윈도 볼륨 창에서만 하거든요.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사운드 출력장치를 다른 것으로 선택해도 이 버튼이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즉, 위 이미지처럼 USB Audio가 아닌 다른 사운드 장치를 선택해 놔도, 그 장치에 대한 볼륨조절이 됩니다. 귀에는 헤드폰을 꽂고 볼륨조절은 USB 스피커로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물론 평소 스피커에서 볼륨조절을 하던 사람에겐 불편한 기능일 수 있습니다.

 

총평

음질 면에서 USB 특유의 뭉개진 듯한 사운드가 다소 마음에 안 들긴 하지만, 가격을 생각한다면 충분히 수긍할 수 있는 음질입니다. 저처럼 이어폰, 클립폰을 주로 쓰다 가끔 작은 스피커가 필요한 분들께 좋은 선택이 될 수 있겠네요. 설치도 간편해서 컴퓨터를 잘 몰라도 상관없고, 작은 크기에 무게도 가벼워 이동하기에도 좋습니다. 단, 메인 스피커로 사용하거나 큰 볼륨을 원하시는 분들께는 별로일 수 있겠네요.

 

 

사양 (로지텍 홈페이지)

  • Total RMS power: 1.2 watts RMS (0.6 watts per satellite)
  • Frequency response: 90 Hz–20 kHz
  • Drivers: 2-inch dynamic drivers
  • Connectivity: USB cable (1.20)
  • Power source: Notebook via USB
  • Power indicator: Amber LED

전체 내용 보기

파이어폭스 올인원 제스쳐 - 선택한 링크들을 새 탭으로 열기

by hfkais | 2009. 2. 2. | 0 comments

모질라 파이어폭스에서는 정말 수많은 부가기능들을 선택해 쓸 수 있습니다. 파이어폭스용 부가기능들을 모아놓은 'Firefox 부가기능' 웹페이지만 봐도 다양한 부가기능들 때문에 눈이 핑핑 돌 정도지요. 물론 이 수많은 부가기능들을 모두 설치해 쓰는 건 아닙니다. 잘 아시겠지만, 각 사용자 별로 자신에게 필요한 부가기능들만 골라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필요한 기능만 골라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떤 이들에게는 매우 좋은 기능인 반면, 이것저것 찾아보고 설치하고 설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떤 이들에게는 파이어폭스의 사용을 주저하게 만드는 장벽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딜 가나 '추천 아이템'은 존재하기 마련이죠. 파이어폭스 부가기능에도 그런 것들이 있습니다. 사이트의 광고를 차단시켜주는 Adblock Plus, 다양한 마우스 제스쳐로 웹서핑을 즐기게 해주는 All-in-One Gestures, 온라인상에서 북마크를 동기화 해주는 Foxmarks, 아직 IE에 익숙한 사용자를 위한 IE Tab 혹은 IE View, 탭 기능을 더욱 막강하게 해주는 Tab Mix Plus 등이 그것입니다. 물론 개인마다 선호하는 부가기능은 약간씩 다르겠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추천하는 부가기능들이죠.

이 중 All-in-One Gestures는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부가기능 중 하나입니다. 마우스만 슥슥 움직이면 파이어폭스에 다양한 명령을 내릴 수가 있지요. 수십 가지의 명령을 제스쳐만으로 내릴 수 있지만, 아무래도 전부 쓰기엔 다 외우지도 못하겠고 그렇게 자주 쓰는 기능도 얼마 없습니다. 고작해야 뒤로가기, 앞으로가기, 새 탭 열기 등등 몇 가지 명령만 쓸 뿐이죠.

그런데 이중에서 특히 유용하게 쓰고 있는 제스쳐 명령이 있습니다. 바로 '링크를 새 탭으로 열기' 라는 이름의 제스쳐 명령이죠. 제가 여기에 할당한 명령은 '아무 동작 – 오른쪽 – 위 – 왼쪽' 입니다(원래는 비어있습니다). 동작 명령으로는 '+RUL(+Right Up Left)' 입니다. 마우스를 움직여 링크들을 선택한 뒤에, 오른쪽 – 위 – 왼쪽 방향으로 마우스 동작을 취해주면 선택된 링크들이 모두 새 탭으로 촤르르륵 열립니다. 각종 게시판의 글들을 모두 보고자 할 때, 뉴스 기사목록에서 전체 기사를 다 보고자 할 때, 검색 결과를 모두 열어보고자 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저는 주로 올블로그에 링크된 수많은 블로그 글들을 보고자 할 때 사용하고 있습니다.

▲ 위 동영상을 보시면 어떻게 작동하는지 쉽게 감이 오실 겁니다(화면이 작아서 안보이거나, 회선이 불안정하면 YouTube사이트에서 저화질/고화질 선택해서 보세요).

 

여러 개의 웹사이트를 동시에 띄우기 때문에, 컴퓨터에 많은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운이 나쁘면 파이어폭스가 다운되기도 하지요(이럴 땐 세션 복구 기능을 이용하세요). 인터넷 회선도 중요합니다. 너무 느린 회선에서 너무 많은 사이트를 동시에 띄워봤자 회선이 못 받쳐주면 소용 없습니다. 웹사이트가 위치한 서버 쪽 상태도 중요하지요. 웬만해선 별 무리 없이 서핑을 즐길 수 있겠지만, 서버의 회선상태가 안 좋을 경우 로딩에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항상 자신의 컴퓨터 사양과 회선 속도에 맞춰 '적당히' 쓰시기 바랍니다. 또한 사양이 좋다고 너무 많이 열어도 웹사이트 서버에 별로 안 좋겠죠. 약 10개, 20개, 30개 정도씩 적당히 끊어서 쓰는 게 좋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네이버 메인 '환율계산기' 이제 소수점이 찍히네요

by hfkais | 2009. 1. 19. | 0 comments

이전 글 : 네이버 메인 '환율계산기' 소수점이 안 찍혀요!

얼마 전 개편된 네이버 메인의 환율계산기에 버그가 있다고 글을 썼는데요, 이 버그가 이제 해결된 모양입니다.

무슨 일인고 하니, 네이버 메인 오른쪽에 위치한 환율계산기 내에 소수점 입력이 안 되는 버그였습니다. 아무리 . 키를 눌러도 소수점이 찍히지 않았죠. 고객센터에 메일을 보내고, 약 3주 만에 고쳐졌습니다.

 

snap_2343
▲ 버그 수정 전의 환율계산기. 69.99달러를 계산하고 싶었지만… 6,999 달러로 입력됩니다.

snap_2342
▲ 버그 수정 후의 환율계산기. 69.99달러가 제대로 계산됩니다.

 

이로써 소비자들에게 한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그런데 네이버 고객센터에서는 '확인해보겠다'는 메일 두 통 보낸 이후로, 고쳤으면 고쳤다 뭐가 문제였다 메일이 없네요. 그래도 어쨌든 원하는 대로 수정되었으니 고맙네요.

덧) 21일, 네이버 고객센터로부터 메일이 왔는데, 그동안 개선작업을 벌여 16일부터 개선된 위젯으로 서비스했다고 합니다.


전체 내용 보기

디카로 찍은 동영상을 유튜브에서 고화질로 감상하자

by hfkais | 2009. 1. 15. | 3 comments

YouTube에서 고화질 동영상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건 이미 많은 분들이 아실 겁니다. H.264 코덱도 지원하고, 1280x720p의 HD급 동영상도 지원하지요. 인터넷 회선만 빠르다면 버퍼링 걱정 없이 고화질 동영상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저는 예전에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가 좀 실망한 적이 있습니다. 원본에 비해 화질이 형편없었기 때문이지요.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었겠지만, 화질도 안 좋은데다 속도까지 느리니 굳이 유튜브를 쓸 이유가 없었습니다.  결국 속도만이라도 빠른 국내사이트를 쓸 수밖에 없었죠.

이제 유튜브에서 고화질 서비스도 지원하고 HD 720p 서비스도 지원하게 되어, 디카 동영상으로 몇 번 실험을 해봤습니다. '비록 후줄근한 디카 동영상이지만 어떡하면 더 좋은 화질로 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그 시작이었죠. 이미 HD방송 녹화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동영상으로 시도해본 분들이 많아, 그런 분들의 방법을 참고했습니다.

촬영에 사용한 디지털카메라는 후지필름 파인픽스 F40fd입니다. 최대 640x480 해상도, 30프레임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죠. 화면비율은 4:3으로, 성능은 평범한 디카 수준입니다. 인코딩에는 쉽게 구할 수 있고 사용방법이 비교적 간편한 다음 팟인코더를 사용했습니다.

첫 번째는 원본파일로, 촬영한 후 바로 유튜브에 올린 것입니다. 용량이 많아 올리는데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각각 팟인코더로 인코딩을 한 파일입니다. 하나는 원본과 동일한 해상도에 H.264 코덱을 적용하여 인코딩하였고, 또 하나는 해상도를 HD720p 크기로 늘림과 동시에 H.264 코덱을 적용한 것입니다. H.264 영상에는 태그에 fmt=18 옵션을 적용하였고, 720p 영상에는 fmt=22 옵션을 적용했습니다(fmt옵션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검색해 보시길).

 

원본파일 – 640x480해상도(4:3) / 30프레임 / 63MB용량 / 약 9500Kbps 비트레이트

 

H.264 적용 - 640x480해상도(4:3) / 30프레임 / 9MB용량 /  약 1200Kbps 비트레이트

 

H.264 + 720p 적용 - 1280x720해상도(16:9) / 30프레임 / 12MB용량 /  약 1200Kbps 비트레이트

 

어떤가요? 제가 봤을 땐 H.264 + 720p 영상의 화질이 가장 좋아 보이고, 그 다음이 H.264, (유튜브에서 인코딩한)원본이 가장 안 좋아 보입니다. 해상도를 억지로 잡아 늘린 보람이 있네요. 더구나 인코딩한 파일들은 원본파일에 비해 용량도 훨씬 적게 차지하니 금상첨화로군요. 팟플레이어로 인코딩하는 시간도 별로 오래 걸리지 않았고요.

다만 아쉬운 점은, H.264 + 720p로 인코딩하려면 화면비율이 어쩔 수 없이 16:9로 바뀐다는 겁니다. 원본 영상은 4:3 비율을 가지고 있었죠. 유튜브에서 1280x720 해상도의 영상만 HD720p로 인식하기 때문에, 검은 공백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겠군요. 아니면 영상을 끝까지 잡아 늘리던가요. 혹시나 해서 4:3 비율을 위해 세로는 그대로 두고 가로만 줄여서 960x720으로 영상을 올렸더니, HD720p로 인식하지 않더라고요.

따라서 디카로 찍은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릴 때 가장 높은 화질을 원한다면 H.264 + 720p로, 비율까지 고려한다면 H.264로 인코딩해 올리는 게 좋겠네요. 아예 디카에서 16:9 비율의 동영상을 지원한다면 더더욱 좋겠죠. 제 디카는 그게 안되어서 매우 안타깝습니다.

snap_2324

▲ 다음 팟플레이어로 인코딩 했을 때의 설정입니다. H.264코덱, 1200Kbps, 2pass-CBR 설정을 사용했고 프레임은 그대로 두었습니다. 선명하다고 써있길래 LANCZOS 필터를 썼고(뭔진 잘 모르지만), HD720p를 위해 화면크기를 바꾸었습니다. 4:3비율 유지를 위해 '화면 비율 유지'도 썼고요.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