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실명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실명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유튜브에서 대한민국이 사라진다 – 전세계 인터넷에서 스스로 왕따당하는 한국

by hfkais | 2009. 4. 9. | 2 comments

관련 기사 -
유튜브 "실명제? 차라리 업로드 포기" (ZDNet Korea)
구글 "익명성 침해? 차라리 서비스 중단" (파이낸셜 뉴스)
유튜브, 한국사이트 실명제 거부 (아시아투데이)
구글, 실명제 거부…"한국서 영상 못올려" (한겨례)

구글은 결국 한국정부에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이제 한국 유저들은 업로드도 안 되는 반 쪽짜리 유튜브를 써야 하거나, 국가 설정을 그때그때 바꿔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한국 시간으로 4월 9일부터, 유튜브에서 국가 설정을 '한국'으로 한 유저들은 더 이상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없고, 코멘트도 달 수 없게 됩니다. 바로 한국 정부의 본인확인제 때문입니다. 유튜브는 4월 1일자로 한국에서 본인확인제 대상 사이트에 포함되었지만, 이를 거부하고 사이트 내의 몇몇 기능을 자발적으로 제한했습니다. 바로 동영상 업로드 기능과 코멘트 기능입니다.

snap_2732
▲ 국가설정이 '한국'으로 되어있는 경우, 동영상 업로드가 제한됩니다.
'본인확인제로 인해 한국 국가 설정 시 동영상/댓글 업로드 기능을 자발적으로 비활성화합니다.'

 

snap_2734
▲ 국가설정이 '한국'으로 되어있는 경우, 코멘트 기능도 제한됩니다.

유튜브에서는 각 국가별로 콘텐츠를 정렬하고 감상하기 위해 '국가'와 '언어'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가령 국가 설정을 '일본'으로 해두면, 일본에서 올라온 동영상과 일본 유저들에게 인기 있는 동영상들을 따로 정렬해서 감상하는 식입니다. 국가 설정을 바꾸면, 설정한 국가에 따라 다른 동영상들이 표시되죠.

물론 4월 이전엔 한국도 마찬가지였습니다. KBS드라마 '꽃보다 남자'가 한창 인기였을 때, 유튜브에서 국가 설정을 '한국'으로 해놓고 인기 동영상을 찾아보면 상위권에 꽃보다 남자 관련 동영상이 많았죠. 그런데 이제 4월 9일부터 동영상 업로드가 제한되어 버리니, 더 이상 새로운 '(한국에서의)인기동영상'은 보기 어려워지겠군요.

기존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블로그에 퍼갈 때는 국가 설정을 한국으로 해도 상관 없지만, 동영상을 업로드 하거나 코멘트를 달 땐 국가 설정을 다른 나라로 하거나 '전세계'로 설정해야 합니다. 전처럼 '한국'으로 설정하면 불가능하죠. 이번 조치는 언어 설정과는 상관 없기 때문에 여전히 '한국어'를 쓸 수 있긴 하지만, 왠지 반 쪽짜리 유튜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같기도 하고 유튜브 내에서 한국이란 국가가 사라져버린 느낌도 듭니다.

 

snap_2736
▲ 유튜브 공식 블로그에 올라온 본인확인제 기능제한 관련 글

한편 이번 조치와 관련해 유튜브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입장을 밝혔습니다.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가 우선되면 좋겠다' 라고 하는군요. 지금의 대한민국은 그렇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가뜩이나 전세계 인터넷에서 유독 한국은 소외되어 있다는 느낌이 강한데, 이번 조치로 그 느낌이 한층 더 강해지겠군요.

'전 세계를 하나로 묶는' 인터넷에서, 이렇게 또 우리는 변방 이민족으로 차츰 전락해가고 있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디시인사이드, 실명제 기반 '갤로그' 오픈

by hfkais | 2007. 6. 13. | 10 comments

몇달 전, 디시인사이드에서 쓰이고 있는 갤러리 게시판들이 모두 바뀐 일이 있었죠. 기존의 중구난방 서버 + 제로보드에서, gall.dcinside.com 주소로 게시판 주소가 모두 통합되고, 게시판 프로그램도 약간의 수정이 있었습니다. 새 게시판은 속도가 빨라지고, 올릴 수 있는 이미지의 수가 많아져 그럭저럭 괜찮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한동안 디시 내부적으로 이것저것 공사를 하는 것 같더니, 오늘 드디어 '갤로그'에 대한 가입을 시작했습니다. 대강의 모습은 디시인사이드 + 블로그 + 싸이월드 같은 인상인데요, 로그인한 사용자가 디시인사이드 게시판에 글을 쓰면 그것이 사용자의 갤로그에도 나타납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사람의 글에 남긴 리플도 그대로 갤로그에 나타나고, 다른 사람의 글을 스크랩도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쓴 글, 리플, 올린 사진 등이 갤로그에도 모두 나타나는 것이죠.

한편으론 회원가입을 위해 실명인증을 해야 하기 때문에, '디시인사이드 실명제'의 초석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니, 생각이 아니라 현실이죠. 게시판에서 사용자의 닉네임만 누르면 간단하게 해당 사용자의 갤로그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자가 이전에 쓴 글과 리플 모두를 추적할 수 있게 됩니다. 아직 갤로그 내에 정보공개/비공개 옵션이 없기 때문에, 어찌보면 엄청나게 무서운 시스템이 될 수도 있겠네요. 사생활 침해 우려도 심각하고요.

게다가 디시인사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디시인사이드에서 개인정보를 다루는 것에 대해 그다지 신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디시인사이드 운영진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편인데다, 시스템에 대해서도 문제가 많다고 보고 있는 것이지요. 실제로 디시인사이드를 이용하는 모 이용자의 경우, 위 스크린샷의 내용과 달리 디시인사이드 측에서 개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전송,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스크립트와 패킷 등을 잡아본 결과 가능성이 높다는군요).

아직 서비스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이것저것 뭐라 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글은 프리뷰 정도로 봐 주시고, 더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다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