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AM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AMD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뜻밖의 행운으로 만난 새 컴퓨터, AMD 라이젠3 2200G 레이븐릿지 시스템

by hfkais | 2018. 12. 31. | 0 comments

관련 글 : 7년 만의 새 컴퓨터, G3258 시스템 조립


예전에 조립한 G3258(하스웰) 시스템은 집에서 거의 게임용으로 썼습니다. 낮은 사양이지만 그래도 옵션을 낮춰서 오버워치나 시티즈:스카이라인 정도는 그럭저럭 즐길 수 있었죠. 하지만 이제 슬슬 한계가 보이기 시작했고, 약 4년 동안 잘 썼으니 시스템을 바꿀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여러 가지 이슈로 인해 인텔 쪽은 가격이 너무 비싸져 버렸고, 그나마 AMD 라이젠의 가성비가 좋다길래 그 중에서 고르기로 했습니다. 라이젠5 2600 정도가 괜찮아 보이더군요. 여기에 B450 메인보드와 16GB 램 정도만 붙여서 내년 초에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생각이었습니다. AMD의 SNS계정도 팔로우 했지요.

그런데 뜻밖의 일이 벌어졌습니다. AMD의 SNS 페이지에서 열린 이벤트에 덜컥 당첨이 된 겁니다! 큰 기대 없이 재미 삼아 참가했는데 상품이 무려 컴퓨터 본체랍니다. 그리하여 내년 초로 예정한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얼떨결에 해버리게 되었습니다.



사양

CPU AMD 라이젠 3 2200G 레이븐릿지
메인보드 GIGABYTE GA-A320M-S2H 듀러블에디션
RAM 삼성 DDR4 4G PC4-21300 x2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12V Single Rail 85+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Frontier H300 블랙

당첨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땐 단순히 '라이젠 2200G 시스템' 이라고만 적혀있어서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의외로 알찬 구성에 깜짝 놀랐습니다. 특히 파워나 케이스 같은 건 더 저렴한 제품을 넣어도 일단 돌아가는 덴 문제 없었을 테니까요. 마음에 쏙 들었습니다.

라이젠 2200G CPU는 라이젠의 세 가지 등급 중 가장 아래인 '라이젠 3'에 속하며, Vega 내장 그래픽을 탑재한 'G' 모델입니다. 그래서 풀네임이 'AMD Ryzen 3 2200G with Radeon Vega 8 Graphics (Radeon Vega 8 그래픽이 탑재된 AMD Ryzen 3 2200G)' 입니다. 엔트리 급이지만 이래 봬도 쿼드코어입니다. 4코어 4스레드, 기본클럭 3.5GHz, 최대 부스트 클럭 3.7GHz, TDP 65W 사양에 레이스 스텔스 쿨러를 갖추고 있습니다. 위로는 스레드가 추가된 라이젠5 2400G 모델이, 아래로는 2코어 4스레드의 애슬론 240GE / 220GE 같은 모델들이 있습니다.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는 처음 써봅니다. A320 칩셋은 소켓AM4 칩셋 중 가장 아랫급 모델로, CPU 오버클럭은 지원하지 않는다네요. M-ATX 폼팩터고, SATA포트는 4개입니다. 기가바이트의 듀러블 에디션 모델은 전원부 등에 내구성이 좋은 부품을 썼다고 하네요.


기존 부품 옮기기

새 시스템과 전에 쓰던 G3258 시스템을 나란히 놓고 이전 작업을 했습니다. 그래픽 카드와 스토리지들을 옮겨 달기로 했습니다. 라이젠 2200G에는 꽤 괜찮은 내장 그래픽이 탑재되어 있지만, 그래도 외장 그래픽 카드를 따라갈 순 없겠죠. 어차피 G3258에도 인텔 HD 내장 그래픽이 달려있으니까 그냥 옮겨 달기로 합니다.


사파이어 라데온 R7 260x 입니다. 2014년에 나온 제품이지만 제가 하는 게임들에선 아직까지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검정색 케이스, 검정색 메인보드, 검정색 CPU 쿨러 등과 무척 잘 어울립니다. 이제야 제 자리를 찾은 것 같네요.


그래픽 카드와 함께 HDD, SSD 등을 옮겨 달다가 식겁했습니다. 기가바이트 GA-A320M-S2H 보드의 4번째 SATA포트가 PCI-E 슬롯과 동일선상에 붙어있었던 겁니다(빨간색 SATA 케이블 커넥터). 이 그래픽 카드는 176mm 의 길이를 갖고 있는데, 만약 조금만 더 길었더라면 곤란해질 뻔 했습니다. 한편 메인보드 상자에 ㄱ자 모양 SATA 케이블이 들어있었는데 이럴 때 쓰라고 넣어둔 거겠죠?


일반 ATX 사이즈 케이스인지라 여기저기 공간이 많이 남았습니다. 곳곳에 HDD와 SSD들을 달아줍니다. ODD도 옮겨왔는데 SATA포트가 모자라네요. 기존 시스템에서도 HDD 두개, SSD 두개, ODD 한개(SATA x5)를 썼는데 새 시스템은 여기에 SSD까지 하나 더 추가되어서 메인보드에 있는 SATA 포트 네 개로는 모자랍니다. 스토리지를 바꾸든 SATA포트를 늘리든 방법을 찾아봐야겠네요.


이렇게 해서 AMD 라이젠과 함께 새해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듀얼코어에서 쿼드코어로 바뀌니 아주 여유롭네요.

오버워치를 돌려보니 프레임이 꽤 올랐습니다. R7 260x도 이제서야 제 성능을 맘껏 보여주는 것 같네요. 시티즈:스카이라인에서도 더 이상 버벅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물론 땅이 커지고 인구가 늘면 그에 비례해서 버벅이긴 하겠지만, 적어도 같은 도시를 돌렸을 때 G3258보다 훨씬 여유롭게 돌아갑니다.

저렴한 가격대의 엔트리급 모델인데도 쿼드코어에 이정도의 성능이라니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어차피 소켓 AM4는 꽤 오래 유지한다고 하니까, 이렇게 쓰다 나중에 상위 CPU로 바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7년 만의 새 컴퓨터, G3258 시스템 조립

by hfkais | 2015. 2. 15. | 1 comments

관련 글 : 새로 조립한 E2180 시스템 사양

 

새해도 되고 해서 데스크탑 시스템을 새로 조립했습니다. 관련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전에 쓰던 시스템이 무려 7년 전 사양이네요. 느리긴 해도 얼마 전에 SSD도 달았겠다 그럭저럭 쓸만했는데, 동영상 편집 작업을 하던 동생의 푸념에 결국 새로 조립했습니다. 이번에도 가성비 위주의 중저가 견적인데요, 다 고르고 나니 약 40만원 정도가 들었습니다. 딱히 맞춘 것도 아닌데 매번 이정도 가격대에서만 맞추게 되네요.

 

IMGP8183

전체 내용 보기

내 컴퓨터의 CPU는 가상화 기술을 지원할까? – 가상화 지원 여부 체크 유틸리티

by hfkais | 2009. 5. 26. | 0 comments

올해 말 쯤으로 예상되는 Microsoft Windows 7 의 출시를 앞두고 이미 많은 분들이 RC(Release Candidate) 버전을 통해 차세대 운영체제를 미리 맛보고 있습니다. 또 최근에는 RTM(Release to Manufacturing) 버전이 유출되었다고도 합니다. 아마 올해 말 쯤 되면, Windows 7 의 출시가 관련 업계 최대의 화두로 떠오를 듯 싶습니다.

이러한 윈도 7의 새로운 기능ㆍ특징들 중에서도 유독 강조되는 것이 바로 ‘윈도XP 가상화(XPM)’ 기능인데요, 이름 그대로 윈도 7 운영체제 상에서 윈도 XP를 가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윈도 비스타 출시 초기에 겪었던 ‘호환성 논란’을 윈도 7에서도 되풀이 할 순 없다는 거겠죠. 또한 아직까지 윈도 XP에 머물러 있는 사용자들을 단번에 윈도 7으로 끌어오겠다는 굳은 의지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에서 몇 가지 하드웨어 사양이 만족되어야 합니다. 넉넉한 램과 하드디스크는 물론이고, CPU도 중요합니다. 제품마다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느냐, 지원하지 않느냐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특히 인텔의 경우, 다양하고 복잡한 제품 라인업 만큼이나 가상화 기술(Intel VT) 지원 여부도 꽤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고가의 최신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가상화 기술이 빠졌을 수 있다는 얘기죠.

AMD의 경우, 최신 제품이면 ‘웬만해서는’ 가상화 기술(AMD-V)을 지원하고 있습니다(셈프론 제품들은 제외). 인텔과 비교되는 부분이죠.

만약 윈도 7을 사용할 예정이라면, 그리고 XPM 가상화 기능을 사용할 예정이라면 CPU에서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는지 꼼꼼하게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지원 목록을 살펴보는 것도 좋고, 사양표를 뒤져보는 것도 좋겠죠. 그리고 만약 지금 사용중인 컴퓨터의 CPU에서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는지 궁금하다면, 각 CPU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확인 유틸리티를 통해 확인하면 됩니다.

 

인텔 프로세서 식별 유틸리티

인텔에서는 ‘인텔 프로세서 식별 유틸리티’ 라는 프로그램과, ‘인텔 프로세서 주파수 ID 유틸리티’ 라는 두 가지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전자는 펜티엄3 이후 제품들의 정보를 알려주고, 후자는 펜티엄3와 그 이전 제품들의 정보를 알려줍니다.

윈도 7을 사용할 생각이라면 대부분 펜티엄 4 이상의 CPU를 사용할 테니, 대부분의 사용자라면 전자인 ‘인텔 프로세서 식별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되겠죠.

인텔 프로세서 식별 유틸리티
▲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권 계약에 동의한 뒤 나오는 첫 화면입니다(주파수 테스트 탭). 현재 사용중인 컴퓨터 CPU의 간단한 정보들을 보여줍니다.

 

인텔 프로세서 식별 유틸리티
▲ CPU 기술 탭. 여기서 가상화 기술(Intel VT)에 대한 지원 여부를 볼 수 있습니다. 하이퍼 스레딩 기술과 64비트 지원 여부, SSE 지원도 확인할 수 있죠. E6600은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네요.

 

인텔 프로세서 식별 유틸리티
▲ CPUID 데이터 탭. CPU-z 등의 프로그램에서 볼 수 있는 정보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MD Virtualization™ Technology and Microsoft® Hyper-V™ System Compatibility Check Utility 

AMD에서는 아예 가상화 지원 여부 확인만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PU의 자세한 정보는 나오지 않고, 가상화 기술(AMD-V) 지원 여부만 간략하게 표시해 줍니다. 인텔이 제공하는 유틸리티와는 달리,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파일 실행만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AMD-V
▲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단번에 결과를 보여줍니다. AMD-V, Hyper-V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면, 위의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AMD-V
▲ AMD CPU가 아닌 다른 회사의 CPU를 쓰고 있다면, 이렇게 보여줍니다. AMD 프로세서를 찾을 수 없다는군요.

 

 

그런데 굳이 프로세서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전용 유틸리티를 다운받지 않아도, 일반적인 유틸리티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매우 유용한 각종 유틸리티를 제공하는 Crystal Dew World에서 Crystal CPUID를 다운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AMD-V
▲ Crystal CPUID를 실행시킨 모습. 인텔 VT와 64비트 지원 여부가 하단에 표시됩니다. AMD였다면 AMD-V 란 글자가 굵게 나왔겠죠.

 

 

다운로드 링크 -

인텔 프로세서 식별 유틸리티(한국어)

AMD 가상화 기술 체크 유틸리티(영어)

Crystal CPUID (영어)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