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컴퓨터부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컴퓨터부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ipTIME N150UA 무선랜카드 구입

by hfkais | 2014. 7. 28. | 0 comments

거실에 두었던 데스크탑을 방으로 옮기면서 인터넷 연결 방법도 바꾸기로 했습니다. 기존에는 FTTH 모뎀과 공유기가 모두 거실에 있어  유선으로 연결했지만, 너저분하게 랜선을 방까지 끌어오기는 좀 그랬죠. 하여 무선을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사실 무선랜을 이용해 데스크탑을 연결하는 건 그리 특별한 일은 아닙니다. 노트북을 쓰는 것과 다를 바가 없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짝 꺼려지는 건 아무래도 성능 문제 때문이겠죠? 랜선을 이용해 직접 연결하는 것과 무선으로 벽과 문을 넘어 연결하는 건 차이가 있을 테니까요.

저도 그런 점들이 염려되었습니다. 하지만 임시로 넥서스4의 와이파이 테더링을 써본 결과, '이정도면 쓸만하겠다'는 쪽으로 생각이 바뀌었죠. 넥서스4를 데스크탑에 USB로 연결하고 무선 테더링을 하면, 마치 넥서스4를 무선랜카드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 달 정도를 이렇게 썼는데 생각보다 속도나 핑이 괜찮았습니다. 카운터스트라이크 온라인 같은 FPS게임도 무리없이 즐길 수준이었습니다.

집에서 쓰는 무선공유기도 ipTIME 제품이라 무선랜카드도 자연스럽게 같은 회사 걸로 골랐습니다. 언제나 가성비를 무시할 수 없기에 싼 걸 골랐죠. N150UA라는 모델입니다. 무선링크 속도가 150Mbps 라네요. 어차피 현실적으로 100% 이 속도는 힘들테고, 집에서 쓰는 FTTP는 100Mbps 정도이기 때문에 그럭저럭 괜찮을 것 같았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APACK ZEROtherm GX810 VGA쿨러 장착

by hfkais | 2010. 12. 27. | 0 comments

지금껏 제가 쓰는 컴퓨터에서 고성능/고가형 그래픽카드는 써본 적이 없습니다. 로드맵상 중간에 위치하는, 흔히 메인스트림급이라 불리는 제품들이나 그 이하의 중저가형 그래픽카드만 써왔죠. 저렴하면서도 웬만한 게임은 옵션을 조절해주면 가능하고, 어차피 고사양 게임은 거의 안 하기 때문에 나름대로 괜찮은 선택이었습니다. 요새는 오히려 메인보드 내장그래픽도 상당히 좋아 보이더군요.

그런데 이러한 중저가형 그래픽카드들의 단점 중 하나가 바로 빈약한 쿨러를 장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40mm급의 작은 팬, 모양만 그럴 듯한 히트싱크, 제멋대로 규격의 2pin 커넥터 등등… 당장 쓰기엔 전혀 문제 없지만, 1~2년 쯤 지나면 팬의 내구성이 다되어 덜덜덜 굉음이 나기 시작하죠.

현재 사용중인 ATi Radeon HD3650도 그런 제품이었습니다. 얼핏 보기에 꽤 커 보이는 히트싱크와 블로워 방식의 팬으로 무장했지만 저가형은 저가형이죠. 1년 반~2년 정도 쓰다 보니 팬 내구성이 다되어 덜덜덜 굉음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가끔은 아예 팬이 돌지 않기도 했어요. 게다가 히트싱크 사이사이에 먼지도 많이 끼어 청소가 시급했지만, 청소하기 복잡한 구조에다 맞는 드라이버도 없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그래픽카드에서 나는 굉음을 더는 참지 못하고 결국 사제쿨러를 구입했습니다. 원래 컴퓨터 부품을 구입할 때 많이 고르고 또 고르는 편이지만 이날 만큼은 정말 성질이 나서 그냥 다나와 VGA쿨러 부문 1위 제품을 호환성만 체크하고 바로 질러버렸죠. 바로 오늘 소개할 APACK ZEROtherm GX810 입니다.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