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워드프레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워드프레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구글 Blogger 구형 템플릿에 믹시 mixUP 위젯 달기

by hfkais | 2009. 4. 29. | 6 comments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인 Blogger 에는 두 가지 템플릿 모드가 있는데, ‘레이아웃’과 ‘클래식 템플릿’이 바로 그것입니다. 레이아웃은 2006년 이후 Blogger가 구글에 인수된 뒤 개발된 새로운 페이지 구성 방식이고, 템플릿은 이전부터 써오던 HTML 기반의 구형 페이지 구성 방식입니다. 요새는 대부분 쉽고 간편한 레이아웃 방식을 많이 쓰지만, 저는 아직까지도 구형 템플릿 방식을 고수하고 있습니다(절대 게을러서 그런 게 맞습니다 ㅠㅠ).

아무튼 구형 Blogger 템플릿을 쓰는 저는, 예전에 MixshmixUP 위젯을 블로그에 달려고 했다 포기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처음엔 Blogger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아서였고, 나중엔 신형 레이아웃 방식의 Blogger만 지원해서 포기했던 것이죠. 물론 지금도 구형 템플릿 방식의 Blogger는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mixUP 위젯의 설치코드를 들여다보다, 문득 어떤 코드들이 눈에 띄어 그 부분을 수정해줬더니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선 그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Blogger에 mixUP달기
▲ mixUP 위젯 설치를 위한 코드 생성

mixUP 위젯 페이지에서 설치할 블로그를 선택하고, 조회수 표시 옵션을 선택한 뒤, 자신이 사용중인 블로그를 선택합니다. 저는 Blogger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Blogger를 선택했습니다. ‘확인’ 버튼을 누르면 코드가 생성됩니다. 어떻게 생긴 코드인지 볼까요?

 

Blogger에 mixUP달기
▲Blogger(신형 레이아웃)용 mixUP 코드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보입니다. post.url 이라고 적힌 문자열과 post.timestamp 등의 문자열이 보입니다. 게시물의 URL주소와 게시 시각을 추출하도록 되어있나 봅니다. blogger에 부여된 플랫폼 구분 숫자는 6이군요.

그런데 이 코드들은 Blogger의 구형 템플릿에서 사용되는 코드들이 아닙니다. 구형 템플릿의 코드들은 <$템플릿용 태그$> 와 같은 형식을 가집니다. 위 스크린샷에 보이는 코드들은 신형 레이아웃에 쓰이는 코드들이네요. 때문에 구형 템플릿을 사용하는 제 블로그에는 이 코드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Blogger에 mixUP달기
▲워드프레스용 mixUP 코드

참고 삼아, 워드프레스용 mixUP 코드를 살펴볼까요? 외부 사이트의 위젯이나 가젯 등을 설치할 때, 워드프레스용으로 제작된 코드가 있다면 Blogger 구형 템플릿용으로 수정해서 쓸 수 있습니다. 템플릿 태그 방식이 비슷하거든요. 아까 본 코드보다 이쪽이 더 깔끔하네요. URL과 게시 시각 부분을 추출하기 위한 태그가 보입니다. 워드프레스에 부여된 플랫폼 구분 숫자는 5네요.

그럼 이제, 이 코드를 가지고 Blogger 구형 템플릿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수정해 볼까요? 노랗게 표시된 부분만 수정해주면 됩니다.

 

Blogger에 mixUP달기
▲Blogger(구형 템플릿)용으로 수정된 mixUP 코드

Blogger 구형 템플릿에서 ‘게시물의 URL주소’ 를 표시해주는 태그는 <$BlogItemPermalinkUrl$> 입니다. ‘게시물의 게시 시각’ 을 표시해주는 태그는 <$BlogItemDateTime$> 입니다. Blogger 템플릿용 태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조심해서 써줘야 합니다. 노랗게 표시된 부분을 바꿔주고, 플랫폼 숫자를 다시 6으로 바꿔줍니다. Blogger 구형 템플릿용 태그는 Blogger 도움말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완성된 코드를 Blogger 대시보드의 ‘템플릿 - HTML편집’ 에서 추가합니다. 본문 바로 아래에 넣으면 되겠군요. <ItemPage> </ItemPage> 태그를 쓰면, 게시물 페이지에서만 표시되게 할 수 있습니다. <ItemPage>태그와 </ItemPage>태그 사이에 믹시 코드를 넣으면 되겠죠?

 

 

snap_2869
▲ 블로그 게시물 본문 하단에 나타난 mixUP 위젯 

드디어 mixUP 위젯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습니다. 많이 많이 눌러주세요~

 


전체 내용 보기

해외에서 쉽게 블로그를 개설하려면? 해외 블로그 사이트 두 곳!

by hfkais | 2007. 6. 21. | 7 comments

내일부터 인터넷 상에서 대선 관련 글을 올리기 힘들어짐에 따라, 오늘 블로고스피어의 최대 화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되었습니다. 올블로그에서 키워드 검색만 해봐도, 엄청난 수의 글들이 올라오고 있네요. 정책에 개의치 않고 계속 글을 쓰겠다는 분들도 계시고, 블로그를 폐쇄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는 분들도 계시고, 해외에서 블로그를 개설해 하고 싶은 말을 하겠다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해외 블로그 서비스 두 곳을 간략하게 소개할까 합니다. 참고로 설치형이 아닌 서비스형입니다. 그냥 회원가입하고 몇 가지 설정하고 글을 올리면 끝이죠. 그런데 해외에서 웹사이트를 개설해 선거관련 글을 올리는 것도 이번 규제 대상에 포함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하긴, 기술상으로야 못 잡을것도 없을 것 같은데요.

워드프레스 (http://wordpress.com/)

블로그를 오래 하신 분이라면 많이 들어봤을 이름, 워드프레스입니다. 한국에 태터툴즈가 있다면 해외엔 워드프레스가 있죠. 국내에서 태터툴즈가 설치형 블로그의 선두를 달리는 것 처럼, 해외에선 워드프레스가 설치형 블로그의 최고봉을 달리고 있습니다.

"어라? 그런데 바로 위에서 분명 '서비스형 블로그' 라고 하지 않았나요?"

네, 맞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설치형 블로그이지만, 서비스형도 있답니다. 즉 http://wordpress.org 에서는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다운받을 수 있지만, http://wordpress.com 에서는 서비스형 워드프레스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태터툴즈와 티스토리의 관계 같은 것이죠. 회원 가입 절차는 간단합니다. 다른 외국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ID와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입력한 메일 주소로 활성화 키를 보내줍니다. 또한 워드프레스용 스킨도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대부분의 스킨이 영어를 기준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CSS를 수정해서 한글이 어색해 보이지 않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워드프레스에서 한국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니, 참조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단점이라면 관리 메뉴에서 한글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점인데, 크게 문제될 정도는 아닌 것 같습니다.

블로거 (http://www.blogger.com/)

한국에서 흔히 '블로거'라고 하면 '블로그를 운영중인 사람' 정도의 뜻을 갖지만, 외국에서 '블로거'는 구글의 블로그 서비스 이름입니다. 원래부터 구글이 만든 것은 아니고, 최근에 와서 구글이 인수한 것입니다. 때문에 구글 계정을 가졌다면 쉽게 로그인해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mail을 쓰는 분들이라면 구글 계정도 있으시겠죠.

저도 블로거에서 이 블로그를 비롯해 여러 블로그들을 운영하고 있긴 하지만, 솔직히 많이 부족합니다. 아니, 한국에서 많이 보편화된 블로그와 차이가 좀 있다고 할까요. 화려하고 다양한 기능, 플러그인, 스크립트 같은건 그냥 강 건너 불구경 하듯이 합니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들이 거의 없으니까요. 심지어 트랙백 기능도 없고, 백링크라는 것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코멘트 달기도 많이 불편한 편이죠. 어디까지나 '기본 제공' 되는 것들은 그렇습니다.

하지만 HTML을 좀 알고, CSS를 좀 알며, 스크립트를 좀 안다면 이야긴 달라집니다. 설치형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블로거에서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만들듯이, 자유롭게 태그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처럼 공개된 템플릿(스킨)도 매우 많고요. 지금 보시고 계신 이 블로그의 템플릿도 직접 HTML과 CSS를 수정해 만든 것입니다. 물론 다른 분들도 직접 템플릿을 수정해 블로그를 꾸미고 있습니다.

'한글 Blogger 업데이트 정보' 를 방문해 보시면, 블로거를 이용해 글을 쓰시는 많은 분들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블로거에서는 전체 메뉴와 대부분의 도움말 내용에서 한글을 완벽하게 지원하기 때문에,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저도 한글로 된 도움말을 보고 템플릿을 만들었으니까요. :)

해외 블로그 서비스들은 회원가입도 쉽고, 쓰기에 크게 불편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해 간간히 서비스를 악용하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그런 일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많은 분들이 블로그를 새로 시작할 때 선택의 폭이 넓어졌으면 좋겠네요.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