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DSL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DSL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Meike FC100 마크로 링플래시 개봉기 및 첫인상

by hfkais | 2015. 11. 29. | 1 comments

지난 4월에 있었던 Photo&Imaging 2015에서 렌즈를 하나 구입했습니다. 펜탁스 DFA 50mm F2.8 Macro가 그것인데요, 화질이나 짧은 초점거리 등 다 좋았지만 막상 접사를 하려고 보니 조명이 많이 아쉽더군요. 기존에 쓰던 외장 플래시로는 렌즈 코앞에 있는 피사체를 비추기가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결국 렌즈 바로 앞에 붙이는 링플래시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펜탁스에도 AF160FC라는 마크로 링플래시가 있습니다만, 가격이 거의 70만원 정도로 너무 비싸 엄두가 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괜찮아 보이는 링플래시를 발견했습니다. Meike FC100 LED 마크로 링 플래시입니다.

 

Meike FC100 링플래시 사양

  • 가이드넘버 : 15
  • 색온도 : 5500K
  • 노출시간 : 1/100s
  • 유효거리 : 5cm~1.5M
  • 광원 : LED x 32개
  • 배터리 : 일반 AA x 4개
  • 무게 : 265g
  • 광량조절 : 1/64, 1/32, 1/16, 1/8, 1/4, 1/2, 1/1 수동조절 (7단계)
  • 플래시 발광, 좌/우 발광, 지속광 선택 가능
  • 7개 어댑터 포함. 52mm, 55mm, 58mm, 62mm, 67mm, 72mm, 77mm 구경 렌즈에 사용가능

 


전체 내용 보기

시그마 DG필터 구입 그리고 보유중인 UV필터 비교

by hfkais | 2015. 6. 15. | 0 comments

펜탁스와 시그마를 비롯해 여러 사진 관련 브랜드들의 수입사인 세기P&C는 가끔 큰 폭의 할인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연쇄할인마 이벤트도 있고, 일주일에 한 번씩 열리는 수퍼데이 이벤트도 있죠. 이번 수퍼데이에 마침 시그마 필터가 올라왔길래 필요한 몇 가지를 샀습니다.

얼마 전 구입한 펜탁스 DFA 50mm F2.8 macro에 끼워줄 UV필터, 그리고 펜탁스 DA 16-45mm F4에 끼워줄 CPL 필터가 그것이죠. 내친김에 제가 갖고 있는 UV필터들을 가지고 간단한 비교 테스트도 해봤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Photo & Imaging 2015 – 짧게 쓴 감상

by hfkais | 2015. 5. 15. | 0 comments

지난 4월 19일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Photo&Imaging 2015 – 제24회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을 다녀왔습니다. 그러고 보니 작년에도 다녀왔으면서 포스팅을 깜빡 했었군요(...).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깨작깨작 사진 한 두 장씩 올리고 잊어버린 모양입니다. 또 까먹기 전에, 올해는 짤막하게나마 감상기를 적어봅니다.

IMGP9096

 

 


전체 내용 보기

펜탁스 K-x, K-r에서 서드파티 리모콘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문제

by hfkais | 2014. 8. 18. | 0 comments

갑자기 무슨 바람이 들었는지 올 초에 DSLR용 리모컨을 구입했습니다. 아마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놓고, 장노출 야경사진을 찍어보고 싶다!' 라면서 구입했던 거 같아요. 지금은 그냥 가방에 덩그러니 놓여있지만…;

펜탁스 정품 리모컨은 비싼데다 기능도 한정적이고 무엇보다 '펜탁스 전용' 인지라, 혹시 모를 기종변경 시 리모컨을 또 사야 한다는 불편함이 생기죠. 그래서 당시 펜탁스 유저라면 하나씩은 갖고 있다던 낭주골 리모컨으로 구입했습니다. 안타깝게도 지금은 판매를 중단하신 모양이네요. 제가 산 게 거의 마지막 물량인 것 같습니다.



IMGP6968
△ 펜탁스 카메라들은 대부분 그립부의 이 빨간 동그라미가 리모컨 수신부 (SR 써진거 말고!)

전체 내용 보기

Photo & Imaging 2013 - 펜탁스 - P&I

by hfkais | 2013. 5. 18. | 0 comments

한동안 바빠서 신경도 못 쓰고 있다 이제서야 올립니다. Photo & Imaging 2013 삼성, 캐논, 니콘, 소니를 지나 드디어 펜탁스입니다. 사실 전시장에 입장해서 가장 먼저 구경하고 또 마지막까지 구경한 곳이 펜탁스 부스였지만, 다른 부스에 비해 사진이 많아 가장 마지막에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나름대로 국내에서 인지도도 있고 매니아층도 꽤 있는 브랜드이지만 수입사 때문에 그 동안 P&I에서 거의 볼 수 없었죠. 하지만 이제, 세기 P&C로 수입사가 바뀌고 나서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가격도 꽤 만족스러워졌고 이벤트도 다양하게 하는 등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이 인상적이네요. 무엇보다 이번 P&I에 세기에서 수입하는 타 브랜드들과 함께 당당히 부스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게 무척 반갑습니다.

수입사가 바뀌고 처음 참가하는 P&I 이긴 하지만 워낙 이쪽으로 정통한(?) 수입사라 나름 알찬 부스 구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른 대형 메이커들의 부스처럼 늘씬한 모델들로 도배하거나 화려하고 복잡한 장치 없이, 순전히 제품만으로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라인업이었습니다. 초소형 미러리스 카메라인 Q10을 필두로 복고풍 디자인의 MX-1, 터프한 디자인과 성능의 WG-3, 화려한 컬러로 무장한 방진방습 DSLR K-30, 그리고 타 메이커에서는 볼 수 없는 중형포맷 645D와 펜탁스만의 매력 리밋 렌즈군까지, 부스는 작지만 매력은 결코 작지 않은 제품들이 관람객의 시선을 끌었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Photo & Imaging 2013 - 소니 - P&I

by hfkais | 2013. 4. 14. | 0 comments

DSLR(DSLT)에서 미러리스, 컴팩트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는 소니입니다. DSLR 영역에선 풀프레임 센서와 반투명 미러로 무장한 DSLT 알파 a99 모델을, 컴팩트 영역에선 소위 '풀프레임 똑딱이'라 불리는 RX1을 내세웠습니다. 1.5크롭 미러리스인 NEX시리즈도 건재하고요. 이번 P&I에서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컨셉으로 부스를 꾸몄다고 하는데요, 사진 보시겠습니다.   

 

IMGP9996

전체 내용 보기

Photo & Imaging 2013 - 니콘 - P&I

by hfkais | 2013. 4. 10. | 0 comments

작년 P&I에서 캐논이 'EOS카메라 5000만개, EF렌즈 7000만개'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부스를 꾸몄는데요, 이에 자극 받았는지 올해 니콘은 한술 더 떴습니다. 부스 한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커다란 글씨로 'NIKKOR 7500만개, 80주년'이라고 써놨습니다. 그러면서 각종 니코르 렌즈들과 DSLR 바디들을 전시해 놨지요. 니콘부스 사진 보시겠습니다.

 

IMGP9972

전체 내용 보기

Photo & Imaging 2013 - 캐논 - P&I

by hfkais | 2013. 4. 7. | 0 comments

캐논은 역시 DSLR 왕국이었습니다. '10년 연속 국내판매 1위 DSLR'이라 적힌 빨간 종이가방을 자랑스럽게 나눠주더군요.

이번에 새로 출시된 'EOS 100D'를 전면에 내세우는 모습이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고 가벼운 DLSR'이란 타이틀을 쥐고 있는 기종이죠. 부스 안에 전시된 수많은 DSLR 바디와 EF렌즈들이 'DSLR 만큼은 우리가 최고!' 라고 외치는 것 같았습니다. 아무래도 요즘 대세인 미러리스 진영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겠죠? 게다가 이번 P&I엔 마이크로 포서드 진영(올림푸스, 파나소닉)도 불참해 더더욱 DSLR 진영이 힘을 내는 것 같네요.

익서스나 파워샷 시리즈는 뭐 늘 비슷비슷하고... DSLR들도 숫자만 올라갈 뿐 언젠가부터 별 감흥이 없어, 이번엔 새로 출시된 100D만 만져보고 왔습니다. 소문대로 정말 작긴 작더군요. 100D 사진은 맨 밑에 있습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이즈로 볼 수 있습니다)

 

IMGP0022

▲ 부스 천장에 붙은 대형 캐논 로고


전체 내용 보기

Mobius - 캐논 EOS C300으로 찍은 단편영화

by hfkais | 2011. 11. 5. | 0 comments

최근 방송 프로그램이나 영화에서 DSLR을 이용한 촬영이 늘고 있습니다. 인기있는 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서도 종종 DSLR을 이용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떤 드라마는 아예 화면 전체를 DSLR로 촬영해 방송하기도 합니다. 고가의 영화촬영용 필름 장비에 비해 싼 가격으로 얕은 심도와 높은 품질의 디지털 동영상을 찍을 수 있어, 단편영화는 물론 장편영화에서도 종종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기종은 캐논의 풀프레임 DSLR, EOS 5D MarkⅡ입니다. 여기에 각종 악세서리를 달아 비디오 카메라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과 작은 크기가 장점이라네요. 영화촬영용 장비는 훨씬 무겁고 비싸 대부분 렌트해서 쓴다고 합니다. 자금에 여유가 있는 경우라면 RED ONE과 같은 전문 장비를 사용하기도 한다네요.

상황이 이쯤 되자, 캐논에서는 아예 비디오 촬영용 EOS 카메라를 따로 내놨습니다. 바로 EOS C300이 그것인데요, C는 아마도 Cinema의 C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 카메라는 기존의 EF마운트 렌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HD의 4배 해상도인 4K 동영상을 지원해,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카메라입니다.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2,000만원 대의 가격이 될 것 같다네요. 자세한 스펙은 dpreview의 기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한편 EOS C300으로 찍은 단편영화가 벌써 Vimeo에 소개되었습니다. Vincent Laforet 감독이 찍은 'Mobius'라는 작품으로, 본격적인 장편영화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멋진 화면을 자랑합니다. 개인적으론 내용도 무척 마음에 드네요. 이 단편영화와 함께 메이킹 필름도 공개되었는데, 아마 프로토타입의 C300을 이용한 모양입니다. 뭔가 덜 완성되어 보이고 덕지덕지 지저분한 카메라가 보이네요. 'Mobius' 단편영화와 메이킹 필름은 바로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화면으로 보시길 추천합니다.


전체 내용 보기

카메라에 장착한 필터가 잘 빠지지 않을 때

by hfkais | 2010. 7. 19. | 41 comments


"급해요!" 해결책 바로 보기 | 동영상으로 보기

사진을 찍는 많은 분들이 카메라 렌즈 앞에 보호용 필터를 끼워 씁니다. 싸게는 십 수 만원에서 비싸게는 수 백 수 천만원에 이르는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치죠. DSLR/SLR 카메라용 렌즈는 물론이고, 하이엔드나 똑딱이 카메라에도 따로 어댑터(경통)를 장착해 보호용 필터를 끼우곤 합니다. 물론 '나는 사진의 품질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필터 따윈 쓰지 않아!' 라며 필터 없이 쓰는 분들도 있긴 하지만, 행여 비싼 렌즈에 상처라도 날까, 지문이라도 묻을까 걱정하는 일반인들에겐 보호용 필터가 정말 고마운 존재죠. 옛날엔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UV 필터를 많이 썼지만 요새는 아예 UV 차단 코팅을 한 렌즈가 많아, 보호 기능만 있는 프로텍터 필터도 많이 쓴다고 하네요.

 

필터를 어떻게 끼우지?

필터
▲ smc PENTAX DA L F3.5-5.6 18-55mm AL 렌즈의 앞부분

대부분의 DSLR/SLR 카메라용 렌즈에는 위 사진과 같이 렌즈 맨 앞부분에 나사산이 파여져 있습니다. 빨간색 네모로 표시된 부분을 보시면, 홈이 파져 있죠? 여기에 각종 필터를 돌려서 끼우는 겁니다. 렌즈마다 구경이 조금씩 다른데, 이 구경에 맞춰 필터를 끼우면 됩니다. 위 사진 속 렌즈는 Ø52mm 라 쓰여 있으므로, 52mm 구경의 필터를 끼우면 되는 거죠. 렌즈의 나사산과 필터의 나사산을 잘 맞추어 시계방향으로 슥슥슥 돌리면 필터가 장착됩니다. 물론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빠지겠죠?

 

필터
▲ 캐논 파워샷 A610 & S2 IS에 각각 전용 어댑터(경통)를 끼운 모습

렌즈 구경이 작고 별도의 나사산이 없는 컴팩트 카메라의 경우에도 필터를 달 수 있긴 합니다. 캐논 파워샷 A시리즈의 경우, 꽤 오래 전부터 필터를 끼울 수 있도록 전용 어댑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능이 다양한 S시리즈의 일부 모델에서도 어댑터를 지원하고 있지요. 제가 옛날에 썼던 후지 파인픽스 S602z의 경우에도 전용 어댑터를 이용해 52mm 필터를 쓸 수 있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으악, 필터가 찌그러졌어!

DSCF9145
▲ 후지 파인픽스 S602z의 어댑터에 강하게 끼여버린 B+W 52mm UV필터 

렌즈 앞부분의 나사산과 필터 테두리는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필터의 경우 단순히 유리를 물고 있을 뿐 얇고 가늘기 때문에 충격에 그리 강한 편은 아닙니다. 때문에 필터 테두리가 찌그러지면서 나사산이 강하게 맞물려, 쉽게 빠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가 바로 이런 경우였는데, 위 사진을 보시면 쉽게 알 수 있죠. 빨간색 네모 한가운데 부분을 보면 원형으로 된 필터 테두리가 찌그러져 있는 게 보일 겁니다. 테두리가 찌그러지면서 안쪽의 나사산끼리 강하게 맞물려, 손으론 결코 빠지지 않게 되었습니다.

 

빠지지 않는 필터를 빼기 위한 방법

꽉 맞물려서 빠지지 않는 필터를 빼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필터 렌치를 이용해 돌려 빼낸다.
  2. 고무장갑을 끼우고 손으로 돌려 빼낸다.
  3. 서비스센터에 가져가서 빼달라 한다.

필터 렌치가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그리 자주 쓸 물건도 아니고… 또 갑자기 써야 할 땐 없고… 그렇다고 센터에 가져가는 것도 급할 땐 어려우니 결국 많은 분들이 고무장갑을 이용한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고무장갑을 통해 그립력을 높여서 필터를 빼내려는 것인데요, 하지만 고무장갑마저 없다면…?

제가 바로 그랬습니다. 당장 필터는 빼야겠고 도구는 아무것도 없고. 그러던 중, 한 가지 아이템이 눈에 띄었습니다. 머릿속에서 맥가이버 테마송이 울려 퍼집니다. 그 아이템은 바로…

powercode

전원코드. 컴퓨터나 모니터에 쓰이는 두꺼운 코드가 아니라, 소형 기기에 쓰이는 납작한 모양의 전원코드입니다. 이걸 필터 테두리에 두르고, 양 끝을 세게 잡은 뒤 어댑터를 돌렸습니다. 그랬더니…

안빠지는 필터 쉽게 빼기

올레! 그렇게 기를 쓰고 힘을 줘도 빠지지 않던, 손에 상처까지 냈던 필터가 너무나도 쉽게 툭 하고 빠져버렸습니다. 너무나도 감격스러운 나머지 위 사진을 급하게 찍었네요. 전원코드를 저런 식으로 두르면 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넓은 면(평평한 면)으로 해야 된다는 것. 덕분에 비싼 B+W 필터를 새 카메라의 렌즈에 끼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시겠습니까?


덧) 아직도 이 글을 찾으시는 분이 많아, 서비스 차원에서 동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2015.03.09)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