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17 업데이트 :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화학물질등록평가법에 따른 안전기준 위반' 품목에 해당 제품이 포함되었습니다.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인 0.004%보다 많은 0.009% 초과 검출되었다고 합니다(2.25배). 관련뉴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7.01.24 업데이트 : 칼자이스비전코리아의 제품 회수결정이 내려졌습니다. 안내페이지에 따르면 2015년 10월 이전 수입된 제품에 대해 회수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칼자이스비전코리아의 렌즈 클리닝 와이프 및 렌즈 클리너 회수 안내 웹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경 쓴 사람들은 대부분 작은 손수건을 가지고 다닙니다. 카메라를 가진 사람들도 손수건을 가지고 다닙니다. 목적은 같습니다. '렌즈 청소'를 위한 것입니다. 안경닦이, 안경손수건, 카메라 융, 극세사 천 등으로 불리는 것들로 크기나 재질도 무척 다양합니다.
카메라 렌즈는 형편이 좀 나은 편입니다. 평소에는 렌즈캡으로 보호받고 사진을 찍을 때만 꺼내게 되죠. 아예 새 렌즈를 사자마자 UV/프로텍트 필터부터 붙여놓는 경우도 많습니다. 먼지라도 앉을라치면 바람 불어 날리고, 지문이라도 묻으면 융으로 바로 닦아냅니다.
반면 안경렌즈는 거친 환경에 놓여있습니다. 하루종일 주인의 눈을 보조하느라 땀과 먼지에도 쉽게 노출되지요. 갑자기 비라도 오는 날엔 빗물을 맞아야 하고, 추운 곳이든 뜨거운 곳이든 어쨌든 주인의 얼굴에 붙어있어야 합니다. 그러면서도 안경을 닦을 땐 생각없이 티셔츠로 문지르거나 티슈로 슥슥 닦아버리고 말죠.
제 안경도 그랬습니다. 뭔가 이것저것 덕지덕지 붙어 지저분한데 안경닦이로는 잘 닦이지 않더군요. 카메라용 융으로 닦아도 뭔가 개운치 않은 기분. 그래서 예전부터 생각만 해오던 물건을 이번에 구입했습니다.
칼 자이스 렌즈 클리닝 와이프(Zeiss Lens Cleaning Wipes)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