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태그스토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태그스토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mncast, 일본 진출도 좋지만 브라우저 호환성도 좀 챙겨주시길

by hfkais | 2007. 7. 7. | 5 comments

얼마 전 소스 기반의 모드 게임인 인서전시(Insurgency) 동영상을 올리면서 mncast를 사용한 적이 있었습니다. 예전엔 Tagstory를 썼었지만, 용량 제한이 100MB까지라 올리지 못했습니다. mncast는 서버인코딩과 PC인코딩을 둘 다 지원하고 용량도 1GB까지 가능해서 쓸만해 보였습니다. 광고가 붙는 것도 그다지 크게 지저분하지는 않았고요. 어떤 동영상 사이트는 화질도 용량도 모두 좋은데, 쓸데없는 광고가 너무 심하게 붙더군요.

예전에 태그스토리를 이용할 때는 파이어폭스만으로도 모든 걸 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했습니다. 회원가입 절차부터 동영상 올리기, 동영상 꾸미기, 그리고 주소 퍼가기 까지 파이어폭스만으로 충분히 가능했었죠. 엠엔캐스트는 태그스토리보다 큰 사이트니, 웬만한건 될 것이라 생각하고 회원가입을 시도했습니다. 아, 이런! 아이디 중복확인부터 막혀버리네요.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이정도 일은 충분히 예상했기 때문에, 그냥 IE를 열어 회원가입을 하고, 동영상 올리기를 시도해 봤습니다. 서버 인코딩과 PC인코딩 두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서버 인코딩은 계속 실패만 나와서 그냥 IE에 액티브X 깔고 PC인코딩으로 동영상을 올렸습니다. 그러고보니 여기까지 오는데 계속 IE로만 진행이 가능했네요.

그래도 동영상 퍼가기(주소 복사하기) 정도는 파이어폭스에서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 로그인을 하고 '미니캐스트' 페이지로 이동했습니다. HTML태그 복사, 동영상 링크 복사, 플레이어 크기 그대로 복사 세 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이것 세 가지 모두 다 파이어폭스에선 안됩니다. 스크립트 처리를 해 놨는데, 전혀 작동하지 않습니다.

뭐, 충분히 그럴 수 있죠. 아직 한국에서 파이어폭스 사용자는 적은 편에 속하니까요. 그래도 혹시나 해서 1:1 메일문의를보내 봤습니다. 이것도 역시나 IE로만 해야 합니다. 문의사항 적어 보내는데 위지윅 편집기는 왜 필요한지요.

예전에 태그스토리를 쓸 때, 파이어폭스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 문의를 보냈던 적이 있었습니다. 메일을 보낸 지 거의 하루만에 문제점을 고치고 답장을 해왔더군요. 작은 회사도 이럴진데, 그래도 국내에서 좀 잘 나간다 싶은 회사라면 어떻게 대응해 올 지 무척 궁금했습니다.

약 하루 이틀 정도 지나서, 답변이 왔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 가장 보편적인 환경인 Internet Explorer와 Windows XP 기반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제작되었네요. 그런데, 'Firefox와의 호환성 문제는 테스트가 이루어질 충분한 환경이 되어 있지 않다'고 합니다. 대체 얼마나 복잡하고 대단한 환경이 필요한 걸까요. 제가 위에서 지적한 동영상 퍼가기의 경우, 퍼가기 태그나 링크 주소를 그냥 웹페이지에 표시만 해줘도 가능한 거 아닌가요? 마우스로 클릭했을 때, 클립보드에 자동으로 주소가 복사되는 기능은 태그스토리에서도 쓰고 있는 기능입니다. IE에서는 자동으로 복사되고, 파이어폭스에서는 복사가 안되어도 선택해서 복사하기(Ctrl+C)를 쓸 수 있죠. 다른 곳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주소를 복사할 수 있게 하고 있고요.

엠엔캐스트로부터 저런 답변을 받고, '애써 무시한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찌보면 귀찮아 하는 것 같기도 하고. 굳이 소수를 위해 수고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 같았습니다. 타 브라우저와의 호환성 문제는 타 브라우저를 설치해서, 해당 웹사이트를 열어보기만 해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웹 표준을 어느정도 준수하고(100% 준수는 바라지도 않아요), 스크립트를 조금만 다듬어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죠. 쓸데없는 스크립트 남발만 조금씩 줄여도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입니다.

며칠 전, 雅美님과 Laputian님의 블로그를 통해 엠엔캐스트가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의 엠엔캐스트가 가진 마인드 혹은 정책으로 일본에서 얼마나 인정받을지는 의문이네요. 일본 사람들은 한 번 어느 사이트에 정착하면, 큰 문제가 없는 한 그 사이트만 계속 씁니다. 야후! 재팬이 일본 내에서 10년 넘게 최고의 자리를 지키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그런데 일본 사용자가 클레임을 걸어왔는데, 저런식으로 응대한다면...? 앞으로 더 커갈지, 그저 그런 사이트로 묻힐 지 궁금해 지네요.


전체 내용 보기

태그스토리 - 쉽게 동영상을 올리고 공유할 수 있는 동영상 사이트

by hfkais | 2007. 2. 4. | 3 comments

해가 바뀌어도 여전한 YouTube의 선전과 함께, 확실히 동영상 UCC는 인터넷 상의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약 4~5년 전,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되어 사진찍기가 쉬워지면서 디지털 사진이 큰 붐을 이룬 것과 같이 최근엔 간단한 동영상 장비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동영상도 큰 붐을 이루고 있다.

굳이 몇백만원짜리 장비나 캠코더를 구입하지 않아도, 싼 값에 컴팩트한 캠코더를 구입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간단한 동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한다. 게다가 휴대폰으로도 동영상을 찍을 수 있다. 즉 마음만 먹으면 동영상을 찍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게다가 동영상 편집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다. 간단한 동영상 편집은 윈도에 내장된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게다가 YouTubemncast, 판도라TV 같은 곳에 동영상을 올리면, 알아서 플래시 무비 파일로 변환해주고 친절하게 다른 사이트로 퍼갈 수 있는 태그까지 알려준다. 오늘 소개하려는 TagStory도 이러한 동영상 공유 사이트 중의 하나다.

태그스토리는 YouTube나 mncast에 비하면 후발주자다. 하지만 제공되는 기능은 상당히 편리하고 괜찮다. 무엇보다 가장 마음에 드는 건, 브라우저를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동영상 업로드에서 변환, 꾸미기, 재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브라우저 내에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끝낼 수 있다. 이제는 IE7에게도 외면당한 ActiveX 같은건 조금도 필요없다.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에서도 잘 돌아가며 오페라에서도 별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동영상을 올리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고, 업로드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동영상 업로드와 함께 동영상 변환도 이루어진다. avi, wmv, mov, mpeg, mp4 등 총 9개의 동영상 포맷을 지원하며, 자신의 컴퓨터에 코덱이 없어도 서버에서 알아서 변환해준다. 게다가 동영상 변환(인코딩)도 서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업로드만 해놓고 기다리면 된다.

동영상 변환이 끝나면, 자동으로 표지 이미지를 추출해서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또는 미리 이미지를 만들어 사용자 컴퓨터에서 업로드할 수도 있다. 400x300px의 jpg, gif, png이미지를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동영상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입력한다. 태그스토리란 이름답게 태그를 가장 먼저 입력하게 되어있다. 태그스토리에서는 별도의 카테고리나 구분 없이 오직 태그로 동영상을 정렬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제대로 잘 입력해야 한다.

모든 과정이 끝나면, 동영상을 볼 수 있다. 플래시 기반의 동영상으로, 화질이나 속도는 상당히 괜찮은 편이다. 특히 아무래도 국내 사이트이다 보니 YouTube에 비해 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이다. 동영상 왼쪽에서 링크URL과 플레이어 삽입 소스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가로 400px 짜리 플레이어 소스와, 좀 더 크게 볼 수 있는 430x370px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 싸이월드 미니홈피같은 곳에는 400px짜리가, 일반 게시판 같은 곳에는 430px짜리가 괜찮을 것 같다.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동영상 밑에 '외부 삽입 동영상 재생 통계'가 표시된다는 점이다. 블로그로 치면 '리퍼러 링크' 같은 것이다. 이 목록을 통해 해당 동영상이 삽입된 웹사이트나 웹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재생된 횟수가 많을 수록 상단에 위치한다. 기사를 보면서 동영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을 먼저 보면서 기사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태그스토리는 몇몇 언론사 또는 사이트와 제휴를 맺고 있는데, 유명 언론사의 기사에 삽입된 동영상의 경우 재생 통계의 숫자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기도 한다.

무엇을 시작하려 할 때, 이것저것 고민해야 하고 신경써야 한다면 시작을 꺼리게 된다. 반대로 아무런 고민이나 장애물 없이 바로 시작할 수 있다면, 자신감있게 시작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태그스토리는 상당히 좋은 시작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볼 수 있다. 이젠 동영상도 사진처럼 쉽게 편집하고 올리고 공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당장 카메라나 캠코더를 들고 무엇이든 찍은 뒤 동영상을 만들어 공유해보자. 또 다른 새로운 재미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태그 : , , , , ,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