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시스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시스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뜻밖의 행운으로 만난 새 컴퓨터, AMD 라이젠3 2200G 레이븐릿지 시스템

by hfkais | 2018. 12. 31. | 0 comments

관련 글 : 7년 만의 새 컴퓨터, G3258 시스템 조립


예전에 조립한 G3258(하스웰) 시스템은 집에서 거의 게임용으로 썼습니다. 낮은 사양이지만 그래도 옵션을 낮춰서 오버워치나 시티즈:스카이라인 정도는 그럭저럭 즐길 수 있었죠. 하지만 이제 슬슬 한계가 보이기 시작했고, 약 4년 동안 잘 썼으니 시스템을 바꿀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여러 가지 이슈로 인해 인텔 쪽은 가격이 너무 비싸져 버렸고, 그나마 AMD 라이젠의 가성비가 좋다길래 그 중에서 고르기로 했습니다. 라이젠5 2600 정도가 괜찮아 보이더군요. 여기에 B450 메인보드와 16GB 램 정도만 붙여서 내년 초에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생각이었습니다. AMD의 SNS계정도 팔로우 했지요.

그런데 뜻밖의 일이 벌어졌습니다. AMD의 SNS 페이지에서 열린 이벤트에 덜컥 당첨이 된 겁니다! 큰 기대 없이 재미 삼아 참가했는데 상품이 무려 컴퓨터 본체랍니다. 그리하여 내년 초로 예정한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얼떨결에 해버리게 되었습니다.



사양

CPU AMD 라이젠 3 2200G 레이븐릿지
메인보드 GIGABYTE GA-A320M-S2H 듀러블에디션
RAM 삼성 DDR4 4G PC4-21300 x2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500W +12V Single Rail 85+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Frontier H300 블랙

당첨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땐 단순히 '라이젠 2200G 시스템' 이라고만 적혀있어서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의외로 알찬 구성에 깜짝 놀랐습니다. 특히 파워나 케이스 같은 건 더 저렴한 제품을 넣어도 일단 돌아가는 덴 문제 없었을 테니까요. 마음에 쏙 들었습니다.

라이젠 2200G CPU는 라이젠의 세 가지 등급 중 가장 아래인 '라이젠 3'에 속하며, Vega 내장 그래픽을 탑재한 'G' 모델입니다. 그래서 풀네임이 'AMD Ryzen 3 2200G with Radeon Vega 8 Graphics (Radeon Vega 8 그래픽이 탑재된 AMD Ryzen 3 2200G)' 입니다. 엔트리 급이지만 이래 봬도 쿼드코어입니다. 4코어 4스레드, 기본클럭 3.5GHz, 최대 부스트 클럭 3.7GHz, TDP 65W 사양에 레이스 스텔스 쿨러를 갖추고 있습니다. 위로는 스레드가 추가된 라이젠5 2400G 모델이, 아래로는 2코어 4스레드의 애슬론 240GE / 220GE 같은 모델들이 있습니다.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는 처음 써봅니다. A320 칩셋은 소켓AM4 칩셋 중 가장 아랫급 모델로, CPU 오버클럭은 지원하지 않는다네요. M-ATX 폼팩터고, SATA포트는 4개입니다. 기가바이트의 듀러블 에디션 모델은 전원부 등에 내구성이 좋은 부품을 썼다고 하네요.


기존 부품 옮기기

새 시스템과 전에 쓰던 G3258 시스템을 나란히 놓고 이전 작업을 했습니다. 그래픽 카드와 스토리지들을 옮겨 달기로 했습니다. 라이젠 2200G에는 꽤 괜찮은 내장 그래픽이 탑재되어 있지만, 그래도 외장 그래픽 카드를 따라갈 순 없겠죠. 어차피 G3258에도 인텔 HD 내장 그래픽이 달려있으니까 그냥 옮겨 달기로 합니다.


사파이어 라데온 R7 260x 입니다. 2014년에 나온 제품이지만 제가 하는 게임들에선 아직까지 그럭저럭 쓸만합니다. 검정색 케이스, 검정색 메인보드, 검정색 CPU 쿨러 등과 무척 잘 어울립니다. 이제야 제 자리를 찾은 것 같네요.


그래픽 카드와 함께 HDD, SSD 등을 옮겨 달다가 식겁했습니다. 기가바이트 GA-A320M-S2H 보드의 4번째 SATA포트가 PCI-E 슬롯과 동일선상에 붙어있었던 겁니다(빨간색 SATA 케이블 커넥터). 이 그래픽 카드는 176mm 의 길이를 갖고 있는데, 만약 조금만 더 길었더라면 곤란해질 뻔 했습니다. 한편 메인보드 상자에 ㄱ자 모양 SATA 케이블이 들어있었는데 이럴 때 쓰라고 넣어둔 거겠죠?


일반 ATX 사이즈 케이스인지라 여기저기 공간이 많이 남았습니다. 곳곳에 HDD와 SSD들을 달아줍니다. ODD도 옮겨왔는데 SATA포트가 모자라네요. 기존 시스템에서도 HDD 두개, SSD 두개, ODD 한개(SATA x5)를 썼는데 새 시스템은 여기에 SSD까지 하나 더 추가되어서 메인보드에 있는 SATA 포트 네 개로는 모자랍니다. 스토리지를 바꾸든 SATA포트를 늘리든 방법을 찾아봐야겠네요.


이렇게 해서 AMD 라이젠과 함께 새해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듀얼코어에서 쿼드코어로 바뀌니 아주 여유롭네요.

오버워치를 돌려보니 프레임이 꽤 올랐습니다. R7 260x도 이제서야 제 성능을 맘껏 보여주는 것 같네요. 시티즈:스카이라인에서도 더 이상 버벅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물론 땅이 커지고 인구가 늘면 그에 비례해서 버벅이긴 하겠지만, 적어도 같은 도시를 돌렸을 때 G3258보다 훨씬 여유롭게 돌아갑니다.

저렴한 가격대의 엔트리급 모델인데도 쿼드코어에 이정도의 성능이라니 정말 인상깊었습니다. 어차피 소켓 AM4는 꽤 오래 유지한다고 하니까, 이렇게 쓰다 나중에 상위 CPU로 바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7년 만의 새 컴퓨터, G3258 시스템 조립

by hfkais | 2015. 2. 15. | 1 comments

관련 글 : 새로 조립한 E2180 시스템 사양

 

새해도 되고 해서 데스크탑 시스템을 새로 조립했습니다. 관련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전에 쓰던 시스템이 무려 7년 전 사양이네요. 느리긴 해도 얼마 전에 SSD도 달았겠다 그럭저럭 쓸만했는데, 동영상 편집 작업을 하던 동생의 푸념에 결국 새로 조립했습니다. 이번에도 가성비 위주의 중저가 견적인데요, 다 고르고 나니 약 40만원 정도가 들었습니다. 딱히 맞춘 것도 아닌데 매번 이정도 가격대에서만 맞추게 되네요.

 

IMGP8183

전체 내용 보기

동생의 브리즈번 5200+ 시스템

by hfkais | 2009. 5. 22. | 4 comments

관련 글 : 새로 조립한 E2180 시스템 사양

이번에 동생 혼자 쓸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어 새로운 시스템을 또 조립했습니다. 2008년 5월에 E2180 시스템을 조립했으니, 약 10개월 만이네요. 이번엔 아예 모든 부품을 mATX 폼팩터에 맞춰 준비했습니다. 케이스가 좁아 조립이 약간 힘들었지만 그럭저럭 큰 문제 없이 시스템을 완성했습니다. 이번엔 모니터 포함 약 50만원 정도가 들었습니다.

 

다음은 사양표입니다.

CPU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5200+
메인보드 FOXCONN A7GMX-S (mATX)
RAM 삼성 DDR2 2GB PC2 - 6400
VGA 메인보드내장(ATI 780G - HD3200)
HDD WD 320GB Caviar Blue 3200AAKS (SATA2 / 7200/16M)
ODD n/a
케이스 BIGS 달콤미끈한 블랙 (mATX파워, mATX보드)
파워 FSP-400 마이티 (mATX)
모니터 퍼스트 Angel 201 HIT 무결점 (20.1 / 와이드 / TN)
약 480,000원 (2009년 2월)

전과 마찬가지로, 이번 시스템도 최대한 가볍게 꾸미려 노력했습니다. 아무래도 모니터까지 포함하려다 보니 가격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더군요. 때문에 그래픽도 내장으로 선택했습니다. 그래도 싼 가격에 꽤 괜찮은 시스템이 완성되어 만족스럽습니다.

 

Anna Computer

CPU – 이미 집에서 인텔 E2180을 쓰고 있기 때문에 이번엔 AMD를 선택했습니다. 내장그래픽을 쓰기 위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지요(인텔의 내장그래픽은 별로 쓰고 싶지 않았습니다). 구입 당시 AMD 보급형 CPU중에 가격대비 가장 괜찮았던 브리즈번 5200+를 선택했습니다. 

메인보드 – 내장그래픽 때문에 780G 칩셋을 쓴 메인보드를 선택했습니다. 780G에 내장된 그래픽코어는 ATI HD3200 입니다. 여러 제조사의 780G 보드들 중 폭스콘 제품에 대한 평가가 괜찮아, 그 중에서 골랐습니다. 당시 A7GM-S 제품이 인기였지만 가격을 낮추기 위해 A7GMX-S를 골랐습니다. 램뱅크 숫자, SATA포트 숫자 등에서 차이가 나긴 하지만 크게 문제될 건 없었지요.

Anna Computer

RAM – 메모리 치킨게임에서 승자로 남은 삼성의 DDR2 2GB 제품을 골랐습니다. 듀얼채널로 구성해도 되지만… 1GBx2 하자니 별로고, 2GBx2 하자니 4GB 메모리까진 필요가 없겠더군요. 여차하면 나중에 제가 쓰고 있는 EK 1GBx2 와 바꿔도 될 것 같습니다.

VGA – 메인보드에 내장된 ATI Radeon HD3200 그래픽입니다. 내장그래픽임에도 불구하고 3D게임이 웬만큼 돌아가 꽤 놀랐습니다.

Anna Computer

HDD – 저번엔 시게이트를 썼으니 이번엔 WD를 쓰기로 했습니다. 캐비어 블루 3200AAKS 제품은 그냥 무난해 보입니다.

ODD – 이전과 마찬가지로, 집에서 남는 ODD를 재활용 했습니다. 라이트온 DVD콤보 제품입니다. 아직까진 쓰는데 전혀 지장없습니다.

Anna Computer

케이스 – 순전히 겉모습만 보고 고른게 BIGS의 '달콤미끈한 블랙' 입니다. 겉모습은 깔끔하니 괜찮았지만… 다음부턴 그냥 다른거 사는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Anna Computer

파워 – 다나와 파워 판매순위의 상위권은 모두 저가형 파워들이 차지했고, 그나마 이름있는 제조사들의 mATX 파워 제품은 수입도 잘 안되고… FSP에서도 400W짜리가 딱 하나 있길래 그걸로 골랐습니다. FSP-400 마이티. 그런데 60mm의 작은 팬을 쓰다보니, 파워에서 소음이 좀 있더군요.

모니터 - 22인치 이상은 너무 크고, 19인치 이하는 와이드 해상도가 별로고 해서 20.1인치 와이드를 골랐습니다. 패널이야 어차피 저 급에선 대부분 TN이고… 그냥 가격이 싼 제품으로 골랐는데, 그나마 상태가 괜찮은 제품이 걸려 다행입니다. 불량화소도 없고, 화면 조절을 적당히 해주니까 보기 좋습니다. 

 

이렇게 부품을 고르고, 조립에 들어갔습니다. 조립 자체는 그냥 늘 하던대로 했고, 다만 선 정리나 팬 정리 등에 손이 가더군요.

Anna Computer
▲ 메인보드 소켓에 CPU를 얹은 모습. AMD 쿨러는 그냥 걸쇠 하나만 딱 끼우면 되기 때문에 편합니다. 인텔 쿨러는 4개의 푸쉬핀을 박아 넣어야 하는데, 어려운 것도 아니지만 가끔 귀찮죠.

 

Anna Computer
▲ 케이스에 메인보드 장착 중…. 좁은 케이스라 드라이브 베이 부분을 다 뜯어내야 했습니다. 값싼 케이스라 철판이 좀 얇네요.

 

Anna Computer
▲ 내부 조립 끝! 보드 위에 장착된 건 CPU와 메모리 뿐이라, 내부가 휑~ 합니다. VGA 하나 없을 뿐인데 무척 비어보이네요. 케이스 앞쪽은 ODD와 하드디스크가 꽉 차, 빈 공간도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파워의 남은 선들을 정리하느라 애먹었습니다.

 

Anna Computer
▲ 전원을 넣고 바이오스 세팅 중. 아직 운영체제와 CPU 드라이버(Cool'n'Quiet)가 설치되지 않은 터라, CPU쿨러 팬이 풀rpm으로 맹렬히 돌고 있습니다.

 

Anna Computer
▲ 케이스 옆판을 닫고 보니, 시스템 온도가 마음에 좀 안들더군요. 게다가 120mm 쿨링팬을 달 수 있게 구멍까지 뚫어 놓고선, 웬 작은 팬? 

 

Anna Computer
▲ 케이스 옆판에 120mm 팬을 달 수 있게 구멍을 뚫어놨는데, 정작 달려있는 건 80mm 팬이었습니다.

 

Anna Computer
▲ 냉큼 떼어내고, 따로 구입한 에너맥스 마라톤 120mm 팬을 달았습니다. 그래도 온도가 만족스럽지 않아, 이번엔 배기용 팬을 달기로 했습니다.

 

Anna Computer
▲ 그래도 온도가 만족스럽지 않아, 배기용 팬을 달기로 했습니다. 마침 케이스 후면에 60mm 팬을 달 수 있는 공간이 있어, 에버쿨의 60mm팬을 달았습니다. 무려 3000rpm으로 도는 팬입니다.

 

Anna Computer
▲ 케이스 옆판에서 떼어낸 80mm팬이 남아, PCI 슬롯 위치에 철판을 떼고 붙여버렸습니다. 따로 VGA을 달지 않아서 가능했죠. 어차피 싸구려 번들팬이라 성능은 기대도 하지 않았지만, 그럭저럭 괜찮았습니다.

 

Anna Computer
▲ 소음이 좀 나는 편이긴 하지만, 그럭저럭 온도도 괜찮게 잡았습니다. 인텔 번 테스트를 해보니 풀로드에서도 60도를 넘지 않는군요.

 

Anna Computer
▲ 이렇게 해서 동생의 컴퓨터가 완성되었습니다. 오래오래 잘 썼으면 좋겠네요.

덧) 그런데 몇달 전 얘길 하고 있자니 참 쑥쓰럽네요 -_-; 요새 부품들도 아니고...


전체 내용 보기

새로 조립한 E2180 시스템 사양

by hfkais | 2008. 7. 9. | 2 comments

그동안 집에서 써온 AMD 바톤 2500+ 시스템이 고장나서 이참에 새로 시스템을 조립했습니다. 세어보니 구형 시스템을 약 5년 정도 써왔네요. 싸게 조립해서 5년이나 별 탈 없이 잘 써왔으니 운이 좋은 셈이지요. 하지만 슬슬 성능에 불만을 느끼기도 했고, 요즘 컴퓨터 부품 값이 많이 저렴해져서 새로운 시스템을 조립하게 되었습니다.

조립을 할 때 많은 분들이 ATX 폼팩터를 선호하시는데, 집에서 간단하게 쓰기에는 Micro ATX (mATX) 폼팩터도 괜찮더군요. ATX와 mATX를 절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저렴하고 출력이 좋은 ATX파워를 쓰고, 보드는 저렴한 mATX보드를 쓰며, 이 모두를 담을 수 있는 ATX미니타워나 ATX슬림케이스를 선택하는 것이죠. 저는 오버클럭을 안하고 이것저것 확장할 일도 없어서 절충안을 선택했습니다. ATX파워, mATX보드, ATX지원 슬림케이스로 말이죠.

다음은 사양표입니다.

CPU 인텔 펜티엄 듀얼코어 E2180
메인보드 Abit i-45cv
RAM EKMEMORY DDR2 1GB PC2 - 6400 x2
VGA 이엠텍 사파이어 라데온 HD3650 256MB (S:1GB) 서든어택
HDD 시게이트 SATA2 250G (7200.10/16M) ST3250410AS 슬림
ODD n/a
케이스 CORE S-10 블랙캐슬
파워 히로이찌 HEC-Rapter 400WN
약 350,000원 + 택배비 8천원 (5월 초 기준)

간단한 사양이죠? 그야말로 '무난하게' 조립해서 '무난하게' 쓰는 시스템입니다. 대부분 다나와 인기상품에서 상위권에 위치한 부품들입니다(그야말로 묻어가는 견적이랄까). 가격대는 각 부품별로 4~6 만원대였습니다. 이마저도 지금은 가격이 내려, 총합 33만원 정도면 되겠더군요(6월 12일 현재). 부품별로 대충 살펴볼까요?

com
▲ 조립 도중... 아직 ODD는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선정리도 안되어있죠.

CPU - 저번 시스템이 AMD였기 때문에 이번엔 인텔을 쓰기로 했습니다. 요즘 인텔이 잘나가기도 하고요. 신제품인 울프데일을 써볼까 싶기도 했지만 가격이 두배더군요. 어차피 집에서 쓸 시스템인데다 오버도 안할거라 그냥 값싼 '인텔 펜티엄 듀얼코어 E2180(콘로)'를 선택했습니다. 그래도 위 사양의 부품들 중 가장 단가가 비쌌습니다. 나중에 스테핑을 확인해보니 M0이더군요. 오버도 시도해볼 만 하지만, 일단 보드가 지원하질 않는데다 은박신공 하기도 귀찮고 또 그렇게 높은 성능이 필요 없어서 그냥 관뒀습니다. ^^;

메인보드 - 굳이 비싼 P35 칩셋도 필요없고, 별도로 확장할 일도 없어서 작고 저렴한 mATX 보드를 골랐습니다. 인텔 i945GC 칩셋을 쓴 제품들이 저렴하더군요. 아수스, MSI, 애즈락, 폭스콘 등 다양한 메이커들이 있었지만 순전히 개인적인 호기심으로 아비트를 골라봤습니다(예전 시스템에선 애즈락 보드를 썼었습니다). 보드 디자인은 조립에 큰 무리가 없을 정도입니다. 최근 많이 나가는 어떤 보드들은 IDE포트가 엉뚱한데 박혀있기도 하더군요. 보드 백패널이 케이스와 잘 맞지 않아 조금 고생하긴 했지만, 큰 무리 없었습니다.

RAM - 옛날엔 삼성 아니면 하이닉스였는데 요즘엔 괜찮은 메모리 메이커도 많아졌더군요. 오히려 삼성램을 '비추'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제 시스템에선 그냥 무난하게 EK메모리 제품으로 1GB 두 개를 끼웠습니다. 2GB짜리 하나를 끼워도 상관없긴 하죠. 1GB 두개 듀얼채널 vs 2GB 한개 싱글채널 가지고 논쟁이 벌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다양한 제품이 있는 만큼 쓰는 사람 맘이죠.

VGA - 처음엔 10만원이 넘는 그래픽카드를 껴볼까 고민도 했습니다. 그런데 고사양 게임을 하지 않는이상 비싼 그래픽카드를 쓸 이유가 없더군요. 개인적으로 ATI(지금은 AMD에 합병)를 선호하고, 그중에서도 사파이어 제품에 대해 좋은 기억이 있는 터라 이엠텍 사파이어 라데온 HD3650을 골랐습니다. 함께 들어있던 서든어택 쿠폰은  자주 가는 게시판을 통해 그냥 누구에게 줘버렸어요.

HDD - 시게이트가 좋다, 웨스턴디지털이 좋다, 아니다 삼성도 요즘 쓸만하다, 승리의 히타치(?) 등 많은 말들이 있지만, 시게이트나 웬디나 어차피 '뽑기 운 + 쓰기 나름' 이라고 생각합니다. 250GB중 가장 인기있는  '시게이트 SATA2 250G (7200.10/16M) ST3250410AS 슬림' 모델을 골랐습니다. 얇고 가벼운게 좋더군요. 여기에 '시게이트 EIDE 250G(7200.10/8M) ST3250820A' 하드디스크를 하나 더 붙였습니다. 원래 고장난 200GB 하드였지만, 보증기간이 남아 새 제품으로 교환받았습니다. 재고가 없었는지 250GB로 보내주더군요. 덕분에 250GB + 250GB라는, 그럭저럭 넉넉한 하드용량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두 하드의 이름이 비슷해서 가끔 헷갈릴 때가 있더군요. 다행히 SATA하드는 이름이 AS로 끝나고, EIDE하드는 A로 끝나서 이를 통해 구분하고 있습니다.

ODD - 이전에 쓰던 제품을 다시 쓰기로 했습니다. 파이오니어 DVR-109 모델로, 오래전 공동구매를 통해 구입한 제품입니다. 몇 년이 지났지만 많이 안써서 그런지 아직 쌩쌩하게 잘 돌아갑니다. IDE방식이기 때문에 시게이트 IDE하드와 함께 물렸습니다.

케이스 - 저는 케이스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쓰기 때문에 철판두께는 신경쓰지 않습니다. 그냥 질리지 않을 정도의 모양에, 평균 수준의 기능만 갖추고 있으면 됩니다. CORE라는 제조사의 제품이 인기있길래, 그중에서 슬림ATX 모델을 골랐습니다. 빅타워 - 미들타워 - 미니타워 - 슬림(LP)으로 이어지는 케이스 라인업 중, 미들타워와 미니타워 중간에 속하는 형식입니다. 슬림ATX 케이스는 ATX파워와 ATX보드를 쓰면서도 좀더 작은 덩치를 갖고있습니다. 대신 세로로 된 5.25인치 베이 두 개, 3.5인치 베이 두 개만 지원합니다. 저는 ATX파워와 mATX보드를 썼기 때문에 내부 공간이 좀 남았습니다.

파워 - 예전엔 계속 스파클 파워만 썼었는데, FSP-ATX400PN 파워를 보니 나온지 좀 오래되었더군요. 그래서 히로이찌 HEC-Rapter 400WN으로 골랐습니다.

 

견적을 다 짠 뒤, 다나와를 통해 그럭저럭 저렴한 용산업체에서 물건을 구입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불량은 없네요. 예전에 비하면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컴퓨터를 구입한 것 같습니다. 요즘엔 보드내장 VGA로도 3D게임을 돌린다지요? 웬만한 가정용은 30만원 아래로도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전체 내용 보기